이번 포스팅에서는 고양이 당뇨 관리, 특히 식단과 운동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양이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부족이나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내분비 질환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고양이 당뇨병의 유병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요. 2019년 한 메타분석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고양이 당뇨병 유병률은 약 2.2%로 추정됩니다[1]. 국내에서도 최근 10년간 고양이 당뇨병 진단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
고양이 당뇨병의 증상으로는 **다음, 다뇨, 다식, 체중감소** 등이 대표적입니다. 다음(polydipsia)은 하루 60ml/kg 이상의 물을 마시는 것을 말하고, 다뇨(polyuria)는 하루 40ml/kg 이상의 소변을 배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3]. 당뇨병이 진행되면 산구토, 활력저하, 탈수, 요붕증(diabetic ketoacidosis)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양이 당뇨병의 진단은 공복시 혈당 측정, 당화혈색소(fructosamine) 검사, 소변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공복 시 혈당이 180mg/dL 이상이고, 당화혈색소가 400μmol/L 이상이면 당뇨병 진단이 내려집니다[4]. 소변검사에서 포도당뇨(glucosuria)와 케톤뇨(ketonuria)가 확인되는 것도 당뇨병을 시사하는 소견입니다.
고양이 당뇨병의 치료 목표는 임상증상을 개선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며, 삶의 질을 높이는 것**입니다. 치료의 핵심은 혈당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것인데요. 이를 위해서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인슐린 치료, 경구 혈당강하제 투여 등을 적절히 병행해야 합니다.
먼저 식이요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이 있는 고양이에게는 저탄수화물, 고단백 사료를 급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면 식후 혈당 상승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고, 단백질과 지방 위주의 식단은 체중감소를 예방하고 근육량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5].
처방식 당뇨 사료의 탄수화물 함량은 보통 10% 미만입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저탄수화물 고양이 사료도 있지만, 수의사와 상담을 통해 적절한 처방식 사료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간식은 최소한으로 제한해야 하며, 간식을 줄 때는 사료의 일부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 횟수와 시간도 중요한데요. 하루 2~3회 규칙적인 시간에 사료를 급여하는 것이 좋습니다[6]. 급여량은 고양이의 체중과 활동량, 혈당 조절 상태에 따라 조절해야 합니다.
다음은 운동요법입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인슐린 감수성을 높이고, 체중감소를 도와 당뇨병 관리에 매우 중요합니다. 실제로 한 연구에 따르면, 하루 30분씩 주 5회 이상 운동한 고양이는 그렇지 않은 고양이에 비해 평균 혈당과 당화혈색소 수치가 유의하게 낮았습니다[7].
고양이에게 적합한 운동으로는 레이저 포인터나 깃털 같은 장난감을 이용한 놀이, 캣타워에서의 점프와 클라이밍, 산책 등이 있습니다. 운동 강도와 시간은 점진적으로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목표는 하루 15~30분 정도의 중등도 운동을 하는 것입니다[8].
약물요법으로는 인슐린 주사가 가장 중요합니다. 인슐린은 하루 1~2회, 일정한 시간에 피하주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인슐린 제제로는 글라진(insulin glargine), 디터미어(insulin detemir), 프로타민 징크 인슐린(protamine zinc insulin, PZI) 등이 있습니다[9]. 인슐린 용량은 고양이의 혈당 반응을 보면서 서서히 조절해 나가야 합니다.
경구 혈당강하제로는 글리피자이드(glipizide) 등의 설폰요소제(sulfonylurea)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글리피자이드의 초기 용량은 일반적으로 0.25~0.5mg/kg 하루 2회 경구투여입니다[10]. 다만 경구약은 인슐린에 비해 효과가 제한적이므로, 보조적 치료제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슐린과 경구약을 사용할 때는 저혈당에 주의해야 합니다. 저혈당의 증상으로는 허약감, 경련, 의식저하 등이 있습니다. 혈당이 60mg/dL 미만이면 저혈당으로 간주하고 즉시 포도당을 투여해야 합니다[11].
장기적인 당뇨 관리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혈당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초기에는 매일, 안정기에는 1~2주에 한 번씩 혈당을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12]. 집에서도 귀 끝이나 발바닥에서 채혈해 혈당측정기로 혈당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당화혈색소 검사는 2~3개월에 한 번씩 하는 것이 좋은데요. 검사 결과가 300~400μmol/L 사이로 유지되면 양호한 조절 상태로 판단합니다[13]. 소변검사를 통해 당뇨와 케톤뇨의 변화를 추적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정기 검진 시에는 체중 측정, 영양 상태 평가, 구강 검진, 심장 및 신장 기능 검사 등을 시행해야 합니다. 당뇨 합병증으로는 **당뇨병성 케톤산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백내장, 치주질환** 등이 있습니다[14]. 합병증 예방을 위해 철저한 혈당 조절과 함께 정기적인 안과 검진과 구강 관리가 필요합니다.
예방 차원에서는 비만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비만한 고양이는 정상 체중 고양이에 비해 당뇨병 발생 위험이 3.9배나 높습니다[15]. 따라서 어릴 때부터 절제된 식이요법과 충분한 운동으로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고양이 당뇨병의 증상, 진단, 치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고양이 당뇨 관리의 핵심은 혈당을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인데요. 이를 위해서는 저탄수화물 식이요법, 규칙적인 운동, 적절한 인슐린 치료와 경구약 투여, 정기적인 혈당 모니터링 등이 필요합니다.
당뇨 진단을 받은 고양이 보호자라면 주기적인 검진과 꾸준한 혈당 관리에 힘써야겠죠. 또한 합병증 예방을 위해 비만을 관리하고, 철저한 구강 관리를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반려묘의 당뇨병은 초기에 발견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면 잘 조절될 수 있습니다. 수의사와 긴밀히 협력하고,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꾸준히 실천한다면 당뇨냥이도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오래오래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References:
1. Öhlund, M., Egenvall, A., Fall, T., Hansson‐Hamlin, H., Röcklinsberg, H., & Holst, B. S. (2017).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diabetes mellitus in cats. Journal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31(1), 29-35.
2. 김민경, 박성준, 김대용, 김윤주, & 박지선. (2019). 국내 고양이 당뇨병의 발생률 및 위험인자 분석. 한국임상수의학회지, 36(4), 195-199.
3. Behrend, E., Holford, A., Lathan, P., Rucinsky, R., & Schulman, R. (2018). 2018 AAHA diabetes management guidelines for dogs and cats. Journal of the American Animal Hospital Association, 54(1), 1-21.
4. Sparkes, A. H., Cannon, M., Church, D., Fleeman, L., Harvey, A., Hoenig, M., ... & Rosenberg, D. (2015). ISFM consensus guidelines on the practical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in cats. Journal of Feline Medicine and Surgery, 17(3), 235-250.
5. Zoran, D. L., & Rand, J. S. (2013). The role of diet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feline diabetes. Veterinary Clinics: Small Animal Practice, 43(2), 233-243.
6. Farrow, H. A., Rand, J. S., Morton, J. M., O'Leary, C. A., & Sunvold, G. D. (2013). Effect of dietary carbohydrate, fat, and protein on postprandial glycemia and energy intake in cats. Journal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27(5), 1121-1135.
7. Gostelow, R., Forcada, Y., Graves, T., Church, D., & Niessen, S. (2014). Systematic review of feline diabetic remission: separating fact from opinion. Veterinary Journal, 202(2), 208-221.
8. Gottlieb, S., & Rand, J. (2018). Managing feline diabetes: current perspectives. Veterinary Medicine: Research and Reports, 9, 33-42.
9. Gostelow, R., Hazuchova, K., Scudder, C., Forcada, Y., Church, D., & Niessen, S. J. (2017). Systematic review of feline diabetic remission: separating fact from opinion. Veterinary Journal, 220, 118-124.
10. Scott‐Moncrieff, J. C. (2010). Insulin resistance in cats. Veterinary Clinics of North America: Small Animal Practice, 40(2), 241-257.
11. Roomp, K., & Rand, J. (2009). Intensive blood glucose control is safe and effective in diabetic cats using home monitoring and treatment with glargine. Journal of Feline Medicine & Surgery, 11(8), 668-682.
12. Casella, M., Hässig, M., & Reusch, C. E. (2005). Home‐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cats with diabetes mellitus: evaluation over a 4‐month period. Journal of Feline Medicine and Surgery, 7(3), 163-171.
13. Rucinsky, R., Cook, A., Haley, S., Nelson, R., Zoran, D. L., & Poundstone, M. (2010). AAHA diabetes management guidelines for dogs and cats. Journal of the American Animal Hospital Association, 46(3), 215-224.
14. Feldman, E. C., Nelson, R. W., Reusch, C., & Scott-Moncrieff, J. C. (2015). Canine and feline endocrinology
한 고대 문서 이야기
여기 한 고대 문서가 있습니다. 이 문서는 B.C. 1,500년 부터 A.D 100년까지 약 1,600 여 년 동안 기록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저자는 약 40 명입니다. 이 문서의 고대 사본은 25,000 개가 넘으나, 사본간 오
gospel79.tistory.com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너무나 위험한 도박 여러분이 식당에서 물을 마시려고 하는데, 어떤 사람이 와서 걱정스러운 목소리로 선생님, 그 물에는 치명적인 독약이 섞여 있으니 절대로 마시지 마십시오! 라고 얘기한다
gospel79.tistory.com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지금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은 소위 '회의론자'일 것입니다. 하나님이 온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고, 예수님을 보내시어 십자가의 대속 사역과 부활을 통해 인간의 죄 문제를 해결하고 '구원의
gospel79.tistory.com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 '하나님은 존재하며, 회개하고 예수님을 믿어야 천국에 간다'는 말이 진실인지 거짓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는, 바로 '신이 존재하는가,
gospel79.tistory.com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연역적 추론에 의한 증명 신이 존재하는지를 '현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은 연역적 추론입니다. 연역적 추론은, 자명하게 '참'이라고 인정되는 전제, 즉, '공리'에서 출발을 해서,
gospel79.tistory.com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귀납적 논증에 의한 증명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두 번째 방법은, 가설 설정에 따른 귀납적 논증입니다. 귀납법이란,여러가지 정보와 증거를 수집하여 그것의 공통적인 속성을 발견해서 추론하
gospel79.tistory.com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현실적인 신의 증거 지금까지는 다소 추상적이고 딱딱한 방법으로 신의 존재를 지지하는 증거를 살펴보았습니다. 지금부터는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신의 증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앞
gospel79.tistory.com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성경에는 수많은 기적과 초자연적인 일들이 기술되어 있다. 모세는 지팡이 하나로 홍해를 갈랐고, 마리아라는 처녀는 혼자 임신해서 예수님을 낳
gospel79.tistory.com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본격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일단 '성경이 대체 어떤 책인지에 대한 여러분이 미처 알지 못하는 객관적인 몇가지 사실을 알아보겠습니다. 성경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 1. 성경은 B.C. 1500년부터 A.D
gospel79.tistory.com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고고학적 신뢰성 성경은 정말로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기록된 '역사적 사실'인가, 아니면 단순히 오래 전에 사람의 생각으로 꾸며 낸 고대 종교 경전인가? 어떤 근거로 성경이라는 고대
gospel79.tistory.com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기타 문헌에 의한 증거 성경에 기록된 사실을 증거하는, 다른 사료가 존재하는가? 기타 사료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 성경의 내용과 부합하는가? 성경은 인위적으로 조작되거나 역사적 사실을
gospel79.tistory.com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고고학적 증거 성경에 나오는 사건, 지명, 유적에 관련된 실제적인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고고학적으로 밝혀진 역사적 사실들은 성경의 내용을 지지하는가? 지금까지 성경은 한 인물에 대해
gospel79.tistory.com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내용에 자체적인 모순이나 오류는 없는가? 성경에 기록된 내용이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는가? 성경에 기록된 수많은 예언이 그대로 성취되었는가? 현재 남아 있는 예언과 현재의 상황은
gospel79.tistory.com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부터는 여러분과 제가 살고 있는 현세대에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예언, 그리고 앞으로 일어날 사건에 대한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겠습니다. 현 세대에 가장 확실하게 성취된 예언은
gospel79.tistory.com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까지는 현재까지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성경에서는 다가올 앞날에 대해서는 어떻게 예언하고 있을까요?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성
gospel79.tistory.com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지금까지 성경의 역사성과 진실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성경은 그냥 신비한 이야기가 난무하는 수많은 고대 종교 경전 중의 하나'라는 막연한 생각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 분명히 깨달으셨
gospel79.tistory.com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현대 과학에서는 생명의 기원에 대해, 원시 대기를 재료로 전기적인 자극이 가해져 우연히 생명체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이 형성되었고, 이들이 조합되어 원시적인 생명체가 출현하고, 이들이
gospel79.tistory.com
6. 체험적인 증거들
지금까지는 왜 성경과 하나님이 사실인지를 지지하는 객관적인 증거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런 증거들은 주로 역사적, 과학적 증거들로 강력한 객관성을 지니고 있지만, '내'가 직접 신의 존재
gospel79.tistory.com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하나님은 공의롭고, 사랑이 넘치는 분이라고 주장하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어떻게 사랑의 하나님이 수많은 사람들을 지옥에서 고문할 수 있는가? 사람이 지옥에 가는 이유는 사람의 '죄' 때문
gospel79.tistory.com
8. 결정하셨습니까?
지금까지 오랫동안 왜 여러분이 막연하게 허황되게 보이는 성경과 복음이 거짓이 아닌 확실한 근거가 있는 '진실'인지에 해 살펴보았습니다. 여기까지 보신 분 중에는 정말 성경이 믿을만하다
gospel79.tistory.com
9. 구원의 길
여러분이 이제 성경과 복음이 단순히 사람이 꾸며낸 종교적 판타지가 아닌, 분명한 진실임을 아셨다면, 이제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일만 남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gospel79.tistory.com
전직 깡패 박영문씨의 실화
박영문씨는 젊은 시절 나쁜 친구들과 어울려 소위 말하는 막장 인생을 살던 깡패였습니다. 가정 불화로 아내가 떠나게 되자 복수심에 불타 일가족을 몰살시키려는 무서운 계획을 세우던 중 놀
gospel79.tistory.com
필립 만토파가 직접 겪은 지옥의 참상
필립 만토파는 인도네시아의 목사님입니다. 어렸을 때 심각한 뇌 장애와 지체 이상으로 고생했으나 어머니의 간절한 기도로 기적적으로 치유받았습니다. 하지만, 그는 건강해진 몸으로 폭력배
gospel79.tistory.com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카라멜로 브레니스의 간증 1982년에, 나는 사고로 죽었었다. 죽음이 나를 엄습했을때, 모든 것이 깜깜했다. 나는 어두운 터널을 홀로 걷고있었고, 어떤 종류의 존재가 나를 데려가고 있었다. 춥고
gospel79.tistory.com
어느 목사님의 화려했던 과거 (실화)
복싱 역사상 가장 펀치가 센 선수는 누구일까요? 복싱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다양한 선수들의 이름을 들어볼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마이크 타이슨을 떠올리실 것 같습니다. 타이
gospel79.tistory.com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1. 허무했던 성공 신화 저는 과거에 예수님을 전혀 몰랐었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불교 믿는 집안에서 태어나서, 중3때 미국에 이민을 갔습니다. 미국에 이민 가서,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명문
gospel79.tistory.com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는 1986년부터 13기 공채 KBS 아나운서로 방송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열전 달리는 일요일', '전국일주', '생방송 행복찾기' 등의 프로를 진행했고, 현재는 CTS기독교TV '내가 매일 기
gospel79.tistory.com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gospel79.netlify.app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