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내분비74

당뇨 망막, 조기 발견과 적극적 치료로 실명을 예방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망막병증의 조기 발견과 적극적 치료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은 당뇨병의 가장 흔하고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성인 실명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1] 국내 당뇨병 환자의 약 15~17%가 당뇨망막병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요.[2] 당뇨병 유병기간이 길어질수록 발병률도 증가하여, 10년 이상 된 당뇨병 환자의 경우 60% 이상에서 당뇨망막병증이 발생한다고 합니다.[3] 당뇨망막병증은 고혈당으로 인해 망막의 미세혈관이 손상되면서 시작됩니다. 망막은 카메라의 필름과 같은 역할을 하는 눈 속 조직으로, 빛을 감지하고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데요. 당뇨망막병증이 진행되면 망막 .. 2024. 4. 3.
당뇨 망막병증 예방과 관리, 환자와 의료진의 협력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의 예방과 관리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 실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당뇨병 환자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입니다. 국내 역학조사에 따르면 당뇨병 유병률은 30세 이상 성인의 약 13.7%로 매우 높은 수준이며, 이 중 15.8%에서 당뇨 망막병증이 동반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뇨병 유병 기간이 길수록 당뇨 망막병증의 유병률은 급격히 증가하는데요, 10년 이상 된 경우 약 50%, 15년 이상 된 경우 약 80%에서 관찰된다고 합니다. 당뇨 망막병증은 고혈당으로 인해 망막의 미세혈관에 손상이 누적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망막은 우리 눈 안쪽에 위치한 신경조직으로, 빛을 감지하고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중요.. 2024. 4. 3.
당뇨 망막병증 연구의 최전선, 새로운 치료 타겟 탐색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 연구의 최전선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새로운 치료 타겟 탐색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DR)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 실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국제당뇨병연맹(IDF)에 따르면, 전 세계 당뇨병 환자의 약 1/3인 1억 4,600만 명이 당뇨 망막병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의 15.8%가 당뇨 망막병증을 동반하고 있으며, 이 중 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는 2.6%에 달한다고 보고된 바 있습니다. 당뇨 망막병증은 당뇨병의 대표적인 미세혈관 합병증으로, 고혈당에 의해 망막의 모세혈관이 손상되면서 발생합니다. 손상된 혈관은 투과성이 증가하여 혈장 성분이 누출.. 2024. 4. 3.
당뇨 망막병증과 심혈관 질환, 관련성과 예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과 심혈관 질환의 관련성 및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은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13.8%가 앓고 있는 만성 질환입니다. 2020년 기준으로 전 세계 당뇨병 환자 수는 4억 6300만 명에 달하며, 2045년에는 7억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당뇨병은 그 자체로도 심각한 건강 문제이지만,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더욱 주의가 필요한데요. 그 중에서도 **당뇨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은 실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당뇨 망막병증은 당뇨병으로 인해 망막의 미세혈관이 손상되는 질환입니다. 당뇨병 환자의 약 30%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다가, 진행되면서 시력 저하, 시야.. 2024. 4. 3.
당뇨 망막병증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에 대한 오해와 진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이란? 당뇨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은 당뇨병의 가장 흔하고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로, 당뇨병으로 인해 망막의 미세혈관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환자의 약 30%에서 당뇨 망막병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약 15~50%에서 당뇨 망막병증이 동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당뇨 망막병증은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어 간과되기 쉽지만, 점차 진행되면서 시력 저하, 시야 흐림, 심하면 실명에 이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당뇨 망막병증은 20~64세 성인에서 실명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2024. 4. 3.
당뇨 망막병증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DR)은 당뇨병의 가장 흔하고 심각한 미세혈관 합병증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성인 실명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국내 당뇨병 유병률은 2016년 기준 13.7%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뇨 망막병증 환자 수 역시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의 15.9%가 당뇨 망막병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뇨 망막병증은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다가 진행되면서 시력저하, 시야 흐림, 심한 경우 실명에 이르게 되므로,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질환입니.. 2024. 4. 3.
당뇨 망막병증 진단에서의 안저촬영과 OCT의 역할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 진단에서 안저촬영과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은 당뇨병의 가장 흔하고 심각한 미세혈관 합병증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성인 실명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률이 2016년 기준 14.4%로 매우 높은 수준이며, 이 중 당뇨 망막병증 유병률은 15.8%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이는 국내 당뇨병 환자 약 7명 중 1명이 당뇨 망막병증을 앓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당뇨 망막병증은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다가 진행되면서 심각한 시력저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기.. 2024. 4. 3.
당뇨 망막병증과 신장병, 합병증 예방을 위한 통합적 접근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과 신장병, 합병증 예방을 위한 통합적 접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은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의 약 13.8%가 앓고 있는 만성 질환입니다[1]. 당뇨병은 그 자체로도 심각한 건강 문제이지만, 이로 인한 합병증은 더욱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특히 **당뇨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과 **당뇨 신장병(Diabetic Nephropathy)**은 당뇨병 환자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미세혈관 합병증인데요. 당뇨 망막병증은 당뇨병으로 인해 망막의 미세혈관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지만, 진행되면 심각한 시력 저하나 실명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당뇨 망막병증은 성인 실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전체 당.. 2024. 4. 3.
당뇨 망막병증에서의 항VEGF 치료의 효과와 한계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에서의 항VEGF 치료의 효과와 한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DR)은 당뇨병의 가장 흔하고 심각한 미세혈관 합병증 중 하나로, 성인 실명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국내 역학조사에 따르면 당뇨병 유병 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 당뇨 망막병증의 유병률은 무려 **53.4%**에 이른다고 하는데요. 전 세계적으로도 당뇨 망막병증 환자 수는 2010년 기준 9,340만 명에서 2030년에는 1억 9,060만 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당뇨 망막병증의 병태생리 당뇨 망막병증은 만성적인 고혈당에 의해 망막의 미세혈관이 손상되면서 발생합니다.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 이상으로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고 혈관 .. 2024. 4. 3.
당뇨 망막병증에서의 레이저 치료와 유리체절제술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의 대표적 치료법인 레이저 치료와 유리체절제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 실명의 주된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데요.[1] 국내 역학조사에 따르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약 15~19%가 망막병증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는 2~3%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3] 중증 비증식당뇨망막병증이나 증식당뇨망막병증으로 진행하게 되면 레이저 치료나 유리체절제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요.[4] 이들 치료법의 발전과 함께 당뇨 망막병증으로 인한 실명률은 지난 수십 년간 크게 감소하는 추세입니다.[5] 그럼 각 치료법의 원리와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범망막광응고술(PRP, Panretinal Photocoagulatio.. 2024. 4. 3.
임신과 당뇨 망막병증, 주의해야 할 점 이번 포스팅에서는 임신과 당뇨 망막병증의 관계, 그리고 임신 중 당뇨 망막병증 관리를 위해 주의해야 할 점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은 가임기 여성에게 비교적 흔한 내분비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임신 중 약 1~14%의 유병률을 보입니다.[1] 이 중에는 임신 전부터 당뇨병을 앓고 있던 산모도 있고, 임신 중에 처음 진단받은 임신성 당뇨산모도 포함됩니다. 문제는 당뇨병이 있는 상태에서 임신을 하게 되면 당뇨 망막병증의 위험과 진행 속도가 크게 높아진다는 점인데요.[2]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DCCT)에 따르면 1형 당뇨병 여성에서 임신 중 당뇨 망막병증의 발생 위험은 비임신 여성에 비해 1.6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 임신 중에는.. 2024. 4. 3.
당뇨 망막병증 예방을 위한 혈당 조절 전략 이번 포스팅에서는 임신과 당뇨 망막병증의 관계, 그리고 임신 중 당뇨 망막병증 관리를 위해 주의해야 할 점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은 가임기 여성에게 비교적 흔한 내분비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임신 중 약 1~14%의 유병률을 보입니다.[1] 이 중에는 임신 전부터 당뇨병을 앓고 있던 산모도 있고, 임신 중에 처음 진단받은 임신성 당뇨산모도 포함됩니다. 문제는 당뇨병이 있는 상태에서 임신을 하게 되면 당뇨 망막병증의 위험과 진행 속도가 크게 높아진다는 점인데요.[2]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DCCT)에 따르면 1형 당뇨병 여성에서 임신 중 당뇨 망막병증의 발생 위험은 비임신 여성에 비해 1.6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 임신 중에는.. 2024. 4. 3.
당뇨 망막병증과 고혈압, 위험 인자 관리의 중요성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과 고혈압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위험 인자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은 당뇨병으로 인해 망막의 미세혈관에 손상이 생기는 합병증인데요, 심각할 경우 실명에까지 이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1]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약 4억 2,200만 명의 당뇨병 환자가 있으며, 이 중 3분의 1 정도인 1억 4,500만 명이 당뇨 망막병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2^] 국내 역학조사 결과에서도 당뇨병 유병기간이 15년 이상인 환자의 약 80%에서 당뇨 망막병증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3^] 상당수의 당뇨병 환자들이 망막병증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당뇨 망막병증의 주.. 2024. 4. 3.
당뇨 망막병증과 황반부종, 치료 옵션 탐구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의 주요 합병증 중 하나인 황반부종과 그 치료 옵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은 당뇨병의 가장 흔하고 심각한 미세혈관 합병증으로, 성인 실명의 주요 원인입니다. 국제당뇨병연맹(IDF)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당뇨병 환자의 약 3분의 1이 당뇨 망막병증을 앓고 있으며, 이 중 상당수는 황반부종을 동반하고 있습니다[1]. 우리나라의 경우 당뇨 망막병증 환자의 약 5.1%에서 황반부종이 관찰되었는데요[2]. 황반부종(Diabetic Macular Edema, DME)은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에 fluid가 축적되어 부종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황반은 중심시력을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구조물인데요. 황반에 부종이 생기면 시력저하, 암점, 상의 왜곡 등이 나타나고, 방.. 2024. 4. 3.
당뇨병과 안과 검진, 당뇨 망막 조기 발견의 중요성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병 환자에게 정기적 안과 검진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안저검사를 통한 당뇨망막병증의 조기 발견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은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13.8%가 앓고 있는 대표적 만성질환입니다.[1] 당뇨병이 장기간 지속되면 그에 따른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눈에 생기는 당뇨망막병증은 실명의 주된 원인으로 꼽힙니다.[2] 실제로 국내 실명 원인의 약 17%를 당뇨망막병증이 차지하고 있다고 하는데요.[3] 그렇다면 당뇨망막병증이 왜 이렇게 위험할까요? 무엇보다 초기에는 자각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이 늦어지기 쉽기 때문입니다.[4] Wisconsin Epidemiologic Study of Diabetic Retinopathy 연구에 따르면 당뇨.. 2024. 4. 3.
당뇨 망막병증과 실명의 위험, 예방이 중요한 이유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과 실명의 위험, 예방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DR)은 당뇨병의 가장 흔하고 심각한 미세혈관 합병증으로, 전 세계적으로 성인 실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국제당뇨병연맹(IDF)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4억 6300만 명의 당뇨병 환자 중 약 3분의 1이 당뇨 망막병증을 앓고 있으며, 이 중 1000만 명 이상이 시력상실 위험이 높은 것으로 추정됩니다[1].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닌데요.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의 15.8%에서 당뇨 망막병증이 발견되었고, 이 중 4.6%는 실명 위험이 높은 증식당뇨망막병증 상태였습니다[2]. 당뇨병 유병률 증가와 함께 당뇨 망막병증.. 2024. 4. 3.
당뇨 망막병증의 단계별 진행 과정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 합병증, 당뇨 망막병증의 단계별 진행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은 당뇨병 환자에서 망막의 미세혈관에 병변이 생기는 질환입니다.[1]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률이 2016년 기준 13.7%에 달하고 있는 가운데, 당뇨병 환자의 약 15~50%가 망막병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3] 2018년 대한당뇨병학회 epidemiology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당뇨병 환자 중 망막병증 유병률은 15.9%로 조사되었습니다.[4] 당뇨 망막병증은 단계에 따라 비증식 당뇨망막병증(NPDR, 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 2024. 4. 3.
당뇨 망막병증 환자를 위한 생활 습관 가이드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 환자들이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생활 습관 가이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은 당뇨병의 가장 흔하고 심각한 미세혈관 합병증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성인 실명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1] 국내 역학조사에 따르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약 15~17%가 망막병증을 가지고 있으며, 당뇨병 유병 기간이 15년 이상인 경우 그 비율이 5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3] 망막병증의 발생과 진행에는 고혈당이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로 작용합니다. DCCT(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 Trial) 연구에서는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적극적 혈당 조절 시 망막병증의 발생 위험이 76% 감소함을 보고한 바 있습니다.[4] 제2형.. 2024. 4. 3.
당뇨 망막병증 치료의 최신 동향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 치료의 최신 동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DR)은 당뇨병의 가장 흔하고 심각한 미세혈관 합병증 중 하나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당뇨 망막병증 환자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데요. 현재 전 세계 당뇨병 환자의 약 35%가 당뇨 망막병증을 앓고 있으며[1], 이 중 10%는 실명 위험이 높은 증식당뇨망막병증 상태인 것으로 추정됩니다[2]. 우리나라의 경우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의 15.8%에서 당뇨 망막병증이 발견되었고, 이 중 5.4%는 증식당뇨망막병증이었습니다[3]. 당뇨 망막병증은 고혈당에 의한 망막 미세혈관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손상된 혈관은 투과성이 증가해 망막부종을 일으키고, 망막.. 2024. 4. 3.
당뇨 망막병증, 초기 증상과 예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DR)의 초기 증상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은 당뇨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흔한 미세혈관 합병증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성인 실명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1]. 실제로 당뇨병을 오래 앓은 환자 대부분에서 당뇨 망막병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1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유병 기간이 20년 이상 되면 95% 이상에서, 2형 당뇨병 환자는 60% 이상에서 당뇨 망막병증이 생긴다고 합니다[2].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의 15.8%가 당뇨 망막병증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3.3%는 실명 위험이 높은 증식당뇨망막병증 단계에 있다고 하네요[3]. 그렇다면 당뇨 망막병증은 왜 생.. 2024. 4. 3.
비만과 암, 체중 관리를 통한 암 예방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만과 암의 관계, 그리고 체중 관리를 통한 암 예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만은 암 발생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비만은 전 세계 암 발생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비만이 암 발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실제로 많은 연구들이 비만과 다양한 종류의 암 사이의 연관성을 보고하고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유방암, 대장암, 자궁내막암, 신장암, 식도암 등이 있습니다. 미국암학회(American Cancer Society)의 자료에 따르면, 비만인 여성의 경우 정상 체중 여성에 비해 유방암 발생 위험이 1.5배 높았으며, 자궁내막암의 경우에는 무려 3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비만인 남성의 경우 정상.. 2024. 4. 2.
다이어트 심리학, 긍정적 마인드셋의 힘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이어트 심리학과 긍정적 마인드셋의 힘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이어트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데 있어 심리적 요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는데요. 실제로 많은 연구 결과들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기 효능감(self-efficacy)이 높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다이어트 성공률이 5배나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자기 효능감이란 어떤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의미하는데, 다이어트에 대한 강한 믿음과 의지가 성공으로 이어진다는 것이죠. 또한 자아 존중감(self-esteem)과 신체상(body image)도 다이어트에 있어 중요한 심리적 변인으로 꼽힙니다. 자신의 신체에 대해 긍정적인.. 2024. 4. 2.
다이어트와 지방 세포, 백색 지방과 갈색 지방의 차이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다이어트와 지방 세포, 그리고 백색 지방과 갈색 지방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 몸의 지방 세포는 크게 백색 지방 세포(white adipocyte)와 갈색 지방 세포(brown adipocyte), 이렇게 두 종류로 나뉩니다. 백색 지방 세포는 우리 몸에 가장 풍부한 지방 세포로, 피하와 내장에 주로 분포하며 중성 지방을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성인의 경우 체중의 약 10~20%가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대부분이 백색 지방입니다. 백색 지방은 단순히 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레프틴, 아디포넥틴과 같은 호르몬을 분비하여 에너지 항상성 유지에도 관여합니다. 반면, 갈색 지방 세포는 등 부위와 견갑골 사이, 액와 부위 등에 소량 존재하며,.. 2024. 4. 2.
비만과 수면 무호흡증,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한 체중 관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만과 수면 무호흡증, 그리고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한 체중 관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심각한 건강 문제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전 세계 성인 인구의 39%가 과체중이었고, 13%가 비만이었습니다.[1] 비만은 제2형 당뇨병, 심혈관 질환, 특정 유형의 암 등 다양한 만성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2] 최근 연구에 따르면 비만은 수면 무호흡증(Sleep Apnea)과 같은 수면 장애의 주요 원인이기도 합니다.[3] 수면 무호흡증이란 수면 중에 반복적으로 상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혀서 숨을 쉬지 못하는 상태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미국수면의학회(AASM)의 진단 기준에 따르면, 수면다원검사(Po.. 2024. 4. 2.
다이어트 식품, 저칼로리 식품 선택의 기준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이어트 식품과 저칼로리 식품 선택의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건강한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단과 꾸준한 운동이 필수적이지만, 올바른 식품 선택 또한 다이어트 성공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칼로리가 낮다고 해서 무조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건 아닙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저칼로리 식품, 특히 가공식품이나 인스턴트식품의 경우 설탕, 나트륨, 트랜스지방, 화학첨가물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반면 채소, 과일, 통곡물, 살코기, 생선 등의 자연식품은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 좋은 지방 등 풍부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다이어트와 건강 유지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 위주로 선택하는 것이 다이어트 식단.. 2024. 4. 2.
비만과 불임, 체중 감량이 가져오는 생식 건강 개선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만과 불임의 연관성, 그리고 체중 감량이 가져오는 생식 건강 개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심각한 건강 문제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전 세계 성인 인구의 39%가 과체중이었고, 13%가 비만이었습니다.[1] 비만은 제2형 당뇨병, 심혈관 질환, 특정 암 등 다양한 만성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2] 최근에는 비만이 생식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비만은 여성의 생식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비만 여성은 배란 장애, 월경 불순, 다낭성 난소 증후군(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등의 문제를 겪을 위험이 높습.. 2024. 4. 2.
비만과 골관절염, 체중 부하로 인한 관절 손상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만과 골관절염의 연관성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심각한 건강 문제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통계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전 세계 성인 인구의 39%가 과체중이었고, 13%는 비만에 해당했습니다. 비만은 제2형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특정 암 등 다양한 만성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최근에는 비만과 골관절염(osteoarthritis)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많은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과 주변 뼈의 변형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퇴행성 관절 질환입니다. 주로 무릎, 엉덩이, 손 등 체중 부하가 많이 걸리는 관절에서 호발합니다. 노화가 진행.. 2024. 4. 2.
다이어트와 단백질 섭취, 근육량 유지의 비결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이어트와 단백질 섭취, 근육량 유지의 비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이어트를 하면 체중이 줄어드는 것은 사실이지만, 동시에 근육량도 감소하게 됩니다[1]. 이는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요. 근육은 우리 몸의 기초대사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2]. 기초대사량이 높을수록 칼로리 소모가 활발해지므로, 체중 감량에 유리합니다. 그렇다면 다이어트를 하면서도 근육량을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 비결은 바로 단백질 섭취에 있습니다. 단백질은 근육을 구성하는 주요 영양소로, 1일 체중 1kg당 0.81.2g 정도 섭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3]. 이는 체중 60kg인 성인의 경우 하루에 4872g의 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는 의미인데요. 단백질은 육류, 생선, .. 2024. 4. 2.
비만과 고혈압, 체중 감량을 통한 혈압 조절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만과 고혈압의 연관성, 그리고 체중 감량을 통한 혈압 관리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만은 고혈압의 가장 강력한 위험인자 중 하나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 성인 인구의 13%가 비만이며, 이들 중 절반 이상이 고혈압을 동반하고 있습니다. 국내 역학조사 결과에서도 BMI(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의 비만군에서 고혈압 유병률이 35.5%로, 정상 체중군(18.4%)에 비해 약 1.9배 높게 나타났습니다. BMI와 고혈압 발생 위험 간에는 용량-반응 관계가 성립합니다. 즉, BMI가 높아질수록 고혈압의 위험도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것인데요. 한 메타분석 연구에 따르면, BMI가 1 kg/m2 증가할 때마다 고혈압 발생 위험은 남성에서 8%.. 2024. 4. 2.
다이어트와 간헐적 단식, 새로운 체중 감량 전략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 새로운 체중 감량 전략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간헐적 단식(intermittent fasting)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헐적 단식이란 일정 시간 동안 단식을 하고, 정해진 시간에만 식사를 하는 식이요법인데요. 16시간 단식 후 8시간 동안 식사를 하는 16:8 방법, 24시간 단식을 하는 eat-stop-eat 방법, 저칼로리 식단을 하루 이틀 정도 하는 5:2 방법 등 다양한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간헐적 단식은 단순히 체중 감량뿐만 아니라 인슐린 감수성 개선, 지방 분해 촉진, 지방 합성 억제, 세포 재생 및 자가포식(autophagy) 증가, 염증 감소, 뇌 기능 향상 등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19년 발표된 23개의 무.. 2024. 4. 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