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만성 피로 증후군(chronic fatigue syndrome, CF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은 특별한 원인 없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심한 피로를 주요 증상으로 하는 복합적인 장애입니다.

이 외에도 근육통, 관절통, 인후통, 두통, 수면장애, 기억력 저하, 집중력 감소 등 다양한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며, 바이러스 감염, 면역 이상, 신경호르몬계 이상, 정신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고 추정됩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은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질환으로, 현재까지 확실한 치료법은 없습니다. 그러나 증상을 완화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인지 행동 치료, 점진적 유산소 운동 치료, 약물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성철 스님의 고백 - 나는 지옥에 간다
성불의 경지에 올랐던 성철 스님은 불교가 최상의 진리라고 일찍이 큰 깨달음을 얻어 불교에서 최고의 경지라고 하는 해탈을 하고자 1934년 23살의 나이에 부모와 형제 그리고 아내까지 버리고
gospel79.tistory.com
만성 피로 증후군의 역학
만성 피로 증후군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질환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1992년부터 만성 피로 증후군을 신경계 질환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의 발생률은 국가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보고되고 있으며, 일반 인구에서는 0.2~2.6%, 성인 여성에서는 0.5~3.4%, 성인 남성에서는 0.2~1.6% 정도로 추정됩니다¹.
만성 피로 증후군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주로 20~50세의 성인에서 많이 발견되며, 여성이 남성보다 약 2~4배 더 높은 비율로 발생합니다². 만성 피로 증후군의 위험 인구로는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 감염에 노출된 사람들, 신체적 또는 정서적 외상을 겪은 사람들, 면역 체계 문제나 호르몬 불균형을 가진 사람들 등이 있습니다³.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카라멜로 브레니스의 간증 1982년에, 나는 사고로 죽었었다. 죽음이 나를 엄습했을때, 모든 것이 깜깜했다. 나는 어두운 터널을 홀로 걷고있었고, 어떤 종류의 존재가 나를 데려가고 있었다. 춥고
gospel79.tistory.com
만성 피로 증후군의 진단 기준
만성 피로 증후군은 다른 질환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장기간의 심한 피로를 주요 진단 기준으로 합니다. 그러나 만성 피로 증후군은 다른 질환과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현재까지 국제적으로 공인된 단일한 진단 기준은 없습니다. 대신 여러 가지 진단 기준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진단 기준은 1994년 미국의 질병 통제 예방센터(CDC)에서 정한 폴리와 치료법(Fukuda criteria)입니다⁴. 이 기준에 따르면, 만성 피로 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 별다른 원인 없이 심한 피로가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합니다.
- 휴식으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야 합니다.
- 정신적 또는 육체적 활동에 의해 증상이 악화되어야 합니다.
- 일상생활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쳐야 합니다.
- 기억력 또는 집중력 장애, 인후통, 경부 또는 액와부 림프선 압통, 근육통, 다발성 관절통, 새로운 두통, 잠을 자도 상쾌한 느낌이 없음, 운동 또는 힘든 일을 한 이후에 나타나는 심한 권태감 등의 증상 중 4가지 이상이 동시에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합니다.
- 다른 질환에 의해 증상이 설명될 수 없어야 합니다.
이 외에도 2003년 캐나다에서 제안된 캐나다 진단 기준(Canadian Consensus Criteria)⁵, 2011년 국제 전문가 패널에서 제안된 국제 진단 기준(International Consensus Criteria)⁶, 2015년 미국의학연구소에서 제안된 시스템성 과부하증후군(Systemic Exertion Intolerance Disease) 등의 다른 진단 기준도 있습니다.
이들 진단 기준은 폴리와 치료법보다 더 엄격하고 구체적인 증상과 진단 요건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어떤 진단 기준이 가장 정확하고 유용한지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필요합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의 치료 방법
만성 피로 증후군은 현재까지 확실한 치료법이 없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치료의 목적은 증상을 완화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의 치료 방법은 크게 인지 행동 치료, 점진적 유산소 운동 치료, 약물 치료, 대체 요법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인지 행동 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인지 행동 치료는 환자의 비합리적이거나 부정적인 사고 방식을 바꾸고, 적절한 목표 설정과 스트레스 관리를 도와주는 심리치료 방법입니다. 인지 행동 치료는 만성 피로 증후군의 치료에서 가장 근거가 확립된 방법으로, 여러 연구에서 피로감, 우울감, 불안감, 수면장애 등의 증상을 개선하고, 활동 수준과 삶의 질을 높이는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 인지 행동 치료는 보통 12~16주 정도의 기간 동안 주 1회 정도의 상담을 통해 진행됩니다.
2. 점진적 유산소 운동 치료(graded exercise therapy, GET): 점진적 유산소 운동 치료는 환자의 체력과 스테미너를 점차적으로 높여주는 운동 프로그램입니다. 점진적 유산소 운동 치료는 인지 행동 치료와 함께 만성 피로 증후군의 치료에서 근거가 확립된 방법으로, 여러 연구에서 피로감을 감소시키고, 활동 수준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 점진적 유산소 운동 치료는 보통 12~24주 정도의 기간 동안 주 2~3회 정도의 운동을 하며, 운동 종류와 강도는 환자의 상태에 맞게 조절됩니다.
3. 약물 치료(pharmacotherapy): 약물 치료는 만성 피로 증후군의 원인이 아닌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약물 치료에는 다양한 종류의 약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환자의 개별적인 증상과 반응에 따라 선택됩니다. 약물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항우울제(antidepressants): 항우울제는 우울감, 불안감, 수면장애 등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항우울제에는 성분과 작용 기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SSRI(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NRI(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TCA(tricyclic antidepressant) 등이 있습니다. 항우울제를 복용할 때에는 부작용과 급격한 중단 증후군에 주의해야 합니다.
-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s): 항히스타민제는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하고, 수면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항히스타민제에는 H1 수용체 차단제와 H2 수용체 차단제가 있으며, 만성 피로 증후군에서는 주로 H1 수용체 차단제가 사용됩니다.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할 때에는 졸림, 구강 건조, 혼돈 등의 부작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 항바이러스제(antivirals): 항바이러스제는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만성 피로 증후군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항바이러스제에는 아시클로버(aciclovir), 발라시클로비어(valaciclovir), 간시클로비어(ganciclovir) 등이 있습니다.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할 때에는 신장 기능 저하, 골수 억제, 신경독성 등의 부작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 대체 요법(alternative therapy): 대체 요법은 전통적인 의학 외에 다른 방법으로 증상을 완화하거나 치료하려는 시도입니다. 대체 요법에는 영양 보충제, 허브, 아로마 테라피, 마사지, 요가, 명상, 침술, 기공 등이 있습니다. 대체 요법은 일부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그 효과와 안전성은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으며, 때로는 부작용이나 약물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체 요법을 시도하기 전에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고, 의학적인 치료를 대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은 각 환자의 증상과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맞춤형 치료가 필요합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의 치료는 단기간에 완치되기 어려운 질환으로, 장기적인 관리와 협력이 필요합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자신의 몸과 마음을 잘 관리하고, 의사와의 소통을 유지하며,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출처
(1) 만성피로증후군는 무엇이며 가능한 증상, 원인, 위험 및 예방 방법은 무엇입니까?. https://www.msn.com/ko-kr/health/condition/만성피로증후군/hp-Chronic-fatigue-syndrome?source=conditioncdx.
(2) 만성 피로 증후군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83.
(3) Myalgic encephalomyelitis/chronic fatigue syndrome (ME/CFS).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chronic-fatigue-syndrome/symptoms-causes/syc-20360490.
(4)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https://www.ncbi.nlm.nih.gov/.
(5) The challenges of chronic pain and fatigue - PMC.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850224/.
(6) MEDLINE Home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www.nlm.nih.gov/medline/index.html.
지옥에서 만난 무신론자, 토머스 홉스
얼마 가지 않아서 고문을 가하는 엄청난 수의 악마들을 보았다. 그들은 계속해서 큰 무리의 비참한 영혼들에게 불타는 금속이 마디마다 붙어있는 채찍을 휘두르고 있었다. 고문당하는 자들으
gospel79.tistory.com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실화] -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실화] -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gospel79.netlify.app
'기능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피로증후군(CFS)와 섬유근육통의 감별 (1) | 2023.10.08 |
---|---|
맨발 걷기의 효능, 부작용, 국내에서 맨발 걷기 좋은 장소 (0) | 2023.10.08 |
맨발 걷기의 10가지 효능 (1) | 2023.10.05 |
어싱(Earthing) 이란? 어싱(접지)의 효과 (1) | 2023.06.22 |
어싱(earthing)이란? 어싱의 개념과 역사, 효과, 방법 (0) | 2023.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