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일상 생활에서 흔히 경험할 수 있는 설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설사란?
설사는 물기가 많은 변이 배설되는 현상입니다. 의학적으로는 배변의 횟수가 하루 4회 이상이거나 하루에 배설되는 대변의 무게가 200g 이상인 경우를 설사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보통 설사가 2주 미만으로 지속되는 경우를 급성 설사, 2~4주간 지속되는 경우를 지속성 설사, 4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 설사라고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겪는 대부분의 설사는 수일 내로 저절로 해결되지만, 설사로 탈수와 체중 감소 같은 현상이 해결되지 않거나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경우, 고열과 혈변을 동반한 급성 설사는 진료가 필요합니다.
2. 설사는 왜 생기나요?
설사가 생기는 궁극적인 이유는 장의 수분 흡수와 분비의 불균형 때문입니다. 소장과 대장에서는 음식이나 물을 통해 섭취한 수분과, 소화관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에 포함된 수분을 재흡수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이 때, 어떤 원인에 의해 장에서 수분의 재흡수 기능이 떨어지거나, 수분의 분비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대변을 통해 과량의 물이 변과 함께 배출되어 설사가 발생하게 됩니다.
3. 설사의 원인은?
설사의 원인은 그 기전에 따라 수분의 재흡수 감소와 수분의 분비 증가, 운동성 장애의 3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 수분의 재흡수 감소
1) 장 절제, 점막 질환 등으로 인한 장관의 흡수 면적 감소
2) 설사제, 제산제, 지방흡수 장애(만성췌장염, 간질환, 비만 수술 등) 등으로 삼투 작용으로 수분이 장관 내로 이동 (삼투성 설사) : 금식하면 호전
- 수분의 분비 증가 (분비성 설사) : 금식해도 호전 안됨
1)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감염, 염증성 장질환 등으로 인한 점막 손상, 염증 ----> 수분 분비 증가
2) 만성 음주 : 장세포 손상으로 수분 분비 증가
- 위장의 운동성 항진 : 과민성 장증후군(IBS), 갑상선 기능 항진증, 카르시노이드 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