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병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은 혈액 속의 포도당(혈당) 수치가 정상보다 높은 상태가 지속되는 만성 질환입니다. 포도당은 우리 몸의 주요 에너지원이지만,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의 작용이 부족하거나 저하되면 세포로 잘 들어가지 못하고 혈액 속에 쌓이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혈관이나 신경에 손상을 주어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당뇨병은 크게 1형 당뇨병과 2형 당뇨병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성철 스님의 고백 - 나는 지옥에 간다
성불의 경지에 올랐던 성철 스님은 불교가 최상의 진리라고 일찍이 큰 깨달음을 얻어 불교에서 최고의 경지라고 하는 해탈을 하고자 1934년 23살의 나이에 부모와 형제 그리고 아내까지 버리고
gospel79.tistory.com
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생산하는 췌장 베타세포가 면역계의 공격을 받아 파괴되어 인슐린 분비가 거의 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1형 당뇨병은 주로 유전적 요인이나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해 발생하며, 예방하기 어렵습니다. 1형 당뇨병 환자들은 매일 인슐린 주사를 맞거나 인슐린 펌프를 사용하여 혈당 조절을 해야 합니다.
2형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가 감소하거나 인슐린에 대한 세포의 반응이 약해져서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2형 당뇨병은 주로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유전 등의 위험인자와 관련이 있으며, 생활습관의 개선으로 예방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2형 당뇨병 환자들은 운동, 식이요법, 약물치료 등을 통해 혈당 조절을 해야 합니다.
당뇨병의 유병률
당뇨병의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2020년 기준으로 세계 인구의 약 9.3%인 4억 6천만 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이 중 약 90%가 2형 당뇨병입니다. 1 당뇨병은 모든 연령대와 인종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고령화, 비만, 육체 활동 부족 등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여 중년 이상의 인구에서 더 높은 유병률을 보입니다. 2
Spatial Epidemiology of Diabetes and Tuberculosis in India
In this issue of JAMA Network Open, Hernandez et al1 describ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iabetes among adults aged 15 to 50 years using data from the fourth National Family Health Survey (2015-2016) in India. These findings support existing evidence indi
jamanetwork.com
당뇨병의 유병률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국제 당뇨병 연맹(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의 통계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북아메리카와 카리브 해 지역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12.1%)을 보였으며,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11.5%), 남아시아 지역(9.2%), 서유럽 지역(8.7%)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에 아프리카 지역(4.4%), 동남아시아 지역(5.5%), 서남아시아 지역(6%)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유병률을 보였습니다. 1
Diabetes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Group of endocrine diseases characterized by high blood sugar levels Medical condition Diabetes mellitus, often known simply as diabetes, is a group of common endocrine diseases characterized by sustained high blood su
en.wikipedia.org
당뇨병의 유병률은 성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남성의 당뇨병 유병률이 여성보다 약간 높습니다 (남성 9.6%, 여성 9%) 1.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여성의 당뇨병 유병률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여성의 당뇨병 유병률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높았으며, 아프리카 지역에서도 여성의 당뇨병 유병률이 남성보다 약간 높았습니다 1. 이러한 성차는 여성의 비만도, 생식력 관련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당뇨병의 유병률은 연령대에 따라서도 크게 달라집니다. 전 세계적으로 65세 이상의 인구에서 가장 높은 당뇨병 유병률(20.4%)을 보이며, 40-64세 인구에서는 10.9%, 20-39세 인구에서는 2.3%의 유병률을 보입니다 1. 당뇨병은 고령화와 함께 증가하는 질환으로, 고령 인구의 증가는 당뇨병의 유병률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또한, 젊은 연령대에서도 비만, 육체 활동 부족, 유전적 요인 등에 의해 당뇨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5.
당뇨병의 위험 요인
당뇨병의 위험 요인은 크게 수정 가능한 요인과 수정 불가능한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수정 가능한 요인은 생활습관이나 환경적 요인으로, 개인이나 사회가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당뇨병의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요인입니다. 수정 불가능한 요인은 유전적이나 생리적 요인으로, 개인이나 사회가 통제할 수 없는 요인입니다.
수정 가능한 요인
수정 가능한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비만입니다. 비만은 체내 지방 조직의 증가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고,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비만은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로 측정할 수 있으며, BMI가 25 이상인 경우에 비만으로 간주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의 증가는 당뇨병 유병률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6. 비만과 관련된 다른 위험 요인으로는 복부 비만(abdominal obesity), 과식(overeating), 과당 섭취(excessive sugar intake) 등이 있습니다.
비만과 함께, 육체 활동 부족도 당뇨병의 주요 위험 요인입니다. 육체 활동 부족은 근육 조직의 감소와 지방 조직의 증가로 이어지며, 이는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육체 활동 부족은 혈압과 혈중 지질 수치를 높이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권장되는 육체 활동량은 주 5일 이상 30분 이상의 중등도 이상의 운동을 하는 것입니다 7.
그 외에도 흡연(smoking), 음주(drinking), 스트레스(stress), 수면 부족(lack of sleep) 등도 당뇨병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흡연은 혈관 내 피하지방 산화를 촉진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킵니다 8. 음주는 간 기능 장애를 유발하고, 혈당 조절을 어렵게 만듭니다 .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과 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이는 혈당 수치를 높입니다. 수면 부족은 호르몬 분비와 신경계의 균형을 깨뜨리고, 식욕과 포만감을 조절하는 류크틴(leptin)과 그렐린(ghrelin)의 분비를 방해하여 비만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수정 불가능한 요인
수정 불가능한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유전적 요인입니다. 당뇨병은 가족력이나 인종에 따라 유전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특히 1형 당뇨병은 면역계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HLA(human leukocyte antigen) 유전자의 변이가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2]. 2형 당뇨병은 여러 유전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복잡한 질환으로, TCF7L2(transcription factor 7-like 2), KCNJ11(potassium inwardly-rectifying channel, subfamily J, member 11), PPARG(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등 여러 유전자가 관련되어 있습니다.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예방이 필요합니다.
유전적 요인 외에도 나이(age), 성별(gender), 임신(pregnancy) 등도 당뇨병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나이는 당뇨병의 가장 강력한 위험 요인으로, 고령화와 함께 당뇨병 유병률이 증가합니다. 성별은 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더 높은 당뇨병 위험을 가지지만, 여성은 임신 중에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임신 후에도 2형 당뇨병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집니다.
우울증으로 자살을 시도했던 한 가장의 실화
절망에 빠진 한 청년의 이야기 심각한 우울증에 빠진 30대 청년이 있었습니다. 아내와 가족이 있었지만, 안타깝게도 그는 오랫동안 겪어왔던 깊은 우울증의 고통에서 헤어나오지 못했습니다. 절
gospel79.tistory.com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실화] -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실화] -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gospel79.netlify.app
'내분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의 진단 기준 (0) | 2023.10.18 |
---|---|
당뇨병의 증상과 합병증 (0) | 2023.10.18 |
당뇨병의 원인과 분류 (0) | 2023.10.18 |
체중 15% 감량 비만 치료제, 위고비 (0) | 2023.05.26 |
비타민 D의 효능과 보충 요법 (0) | 2019.1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