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분비

당뇨 망막병증에서의 레이저 치료와 유리체절제술

by drlee79 2024. 4. 3.
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의 대표적 치료법인 레이저 치료와 유리체절제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 실명의 주된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데요.[1] 국내 역학조사에 따르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약 15~19%가 망막병증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는 2~3%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3]

 

중증 비증식당뇨망막병증이나 증식당뇨망막병증으로 진행하게 되면 레이저 치료나 유리체절제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요.[4] 이들 치료법의 발전과 함께 당뇨 망막병증으로 인한 실명률은 지난 수십 년간 크게 감소하는 추세입니다.[5] 그럼 각 치료법의 원리와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범망막광응고술(PRP, Panretinal Photocoagulation)

범망막광응고술은 당뇨 망막병증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레이저 치료법으로, 주로 증식당뇨망막병증에서 시행됩니다. 안구 내에서 망막 주변부의 허혈 부위에 다발성의 레이저 반흔을 만들어 혈관내피성장인자(VEGF)의 분비를 감소시키고 신생혈관의 증식을 억제하는 원리입니다.[6]

 

1976년 발표된 Diabetic Retinopathy Study(DRS) 결과에 따르면, 양안의 고위험 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범망막광응고술을 시행할 경우 2년 내 중증 시력 상실의 위험을 절반 이상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7] 이후 1985년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ETDRS)에서는 중증 비증식당뇨망막병증에서도 범망막광응고술의 조기 시행이 유의한 치료 효과를 보임을 입증하였습니다.[8]

 

범망막광응고술은 일반적으로 1~3차례에 걸쳐 분할하여 시행하며, 한 세션당 레이저 응고점이 500~1,500개 정도 적용됩니다.[9] 망막 주변부에 고르게 분포시켜 망막 면적의 약 30~50%를 치료하는데요. 시신경 유두로부터 2유두직경(DD) 이내 황반부, 그리고 이측으로 2시신경유두직경 이내 황반부는 치료 범위에서 제외됩니다.[10]

 

범망막광응고술 후에는 일시적인 시력저하, 암점, 눈부심, 안구건조증, 색각이상 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11] 특히 황반부종이 동반된 경우 주의가 필요한데요. ETDRS 보고서에 따르면 레이저 치료 후 약 43%의 환자에서 황반부종의 악화 소견을 보였습니다.[12] 그러므로 심한 황반부종이 있는 경우에는 레이저 치료 전 유리체강내 항VEGF주사나 스테로이드주사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13,14]

 

한편 최근에는 기존 레이저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패턴스캔레이저(PASCAL), navigated 레이저 등 새로운 형태의 레이저들이 개발되어 임상에 적용되고 있습니다.[15,16] 이들 레이저는 다발성의 짧은 펄스를 이용해 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유리체절제술(Vitrectomy)

유리체절제술은 당뇨망막병증의 말기 합병증인 지속적 유리체출혈이나 견인망막박리가 발생한 경우에 주로 시행되는 수술법입니다.[17] 최근에는 황반부종의 치료에도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데요.[18]

 

수술은 현미경하에서 안구에 3개의 투관침을 삽입하여 진행되며, 고속절삭기(vitrector)를 이용해 혼탁해진 유리체를 제거하고 망막 표면의 증식막과 견인을 박리하게 됩니다.[19] 이후 공기, 가스, 실리콘기름 등으로 안구를 충전하고 레이저나 냉동응고술로 망막열공을 막아 수술을 마무리합니다.[20]

 

Diabetic Retinopathy Vitrectomy Study(DRVS)에 따르면, 증식당뇨망막병증으로 인한 지속적 유리체출혈 환자에서 조기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군은 관찰군에 비해 2년 후 시력예후가 유의하게 좋았습니다.[21] 수술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출혈 발생 1~3개월 내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22]

최근 무봉합 미세절개 유리체절제술(MIVS)의 도입으로 수술의 안전성은 한층 향상되었습니다.[23] 기존의 20게이지 절개창을 이용한 수술에 비해 무봉합 23, 25게이지 시스템은 수술 후 불편감이 적고 빠른 시력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24] 다만 장기적인 안정성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25]

 

당뇨 망막병증 수술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수술 전 시력, 황반부 허혈 정도, 견인망막박리 유무, 황반부 망막박리 기간 등이 있습니다.[26,27] 수술의 합병증으로는 백내장, 녹내장, 망막박리, 황반원공, 안내염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28]

 

지금까지 당뇨 망막병증의 주요 치료법인 범망막광응고술과 유리체절제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레이저와 수술 기법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당뇨 환자들이 비가역적 시력상실로 고통받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29]

 

당뇨 망막병증으로 인한 실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철저한 혈당 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미 망막병증이 발생한 경우라면 적극적인 안과 진료를 통해 적절한 시기에 레이저나 수술적 개입을 하는 것이 시력 보존에 결정적입니다.[30]

 

따라서 당뇨 환자라면 정기적인 안저검사를 통해 망막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망막병증 발생 시 전문의와 긴밀히 상의하여 본인에게 최적화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습니다.

어느 때보다 망막병증 치료의 성공 가능성이 높아진 지금, 결코 망막병증을 눈 건강의 종착역으로 여기지 마시기 바랍니다. 꾸준한 자기관리와 적극적 치료로 소중한 시력을 지켜내는 일, 바로 당신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References:

  1. Cheung N, Mitchell P, Wong TY. Diabetic retinopathy. Lancet. 2010 Jul 10;376(9735):124-36.
  2. Yang JY, Kim NK, Lee YJ, Noh JH, Kim DJ, Ko KS, et al. Prevale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diabetic retinopathy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the 2008-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abetes Res Clin Pract. 2013 Nov;102(2):218-24.
  3. Song SJ, Han K, Choi KS, Ko SH, Rhee EJ, Park CY, et al. Trends in diabetic retinopathy and related medical practices among type 2 diabe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Insurance Service Survey 2006-2013. J Diabetes Investig. 2018 Jan;9(1):173-178.
  4. Solomon SD, Chew E, Duh EJ, Sobrin L, Sun JK, VanderBeek BL, et al. Diabetic Retinopathy: A Position Statement by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Care. 2017 Mar;40(3):412-418.
  5. Sabanayagam C, Banu R, Chee ML, Lee R, Wang YX, Tan G, et al.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diabetic retinopathy: a systematic review. Lancet Diabetes Endocrinol. 2019 Feb;7(2):140-149.
  6. Chhablani J, Rani PK, Balakrishnan D. Laser photocoagulation in diabetic retinopathy. J Curr Ophthalmol. 2020 Jun 26;32(4):303-311.
  7. Diabetic retinopathy study. Report Number 6. Design, methods, and baseline results. Report Number 7. A modification of the Airlie House classification of diabetic retinopathy. Prepared by the Diabetic Retinopathy.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1 Jul;21(1 Pt 2):1-226.
  8.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Research Group. Photocoagulation for diabetic macular edema.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report number 1. Arch Ophthalmol. 1985 Dec;103(12):1796-806.
  9. Fong DS, Girach A, Boney A. Visual side effects of successful scatter laser photocoagulation surgery for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a literature review. Retina. 2007 Sep;27(7):816-24.
  10. Chappelow AV, Tan K, Waheed NK, Kaiser PK. Panretinal photocoagulation for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pattern scan laser versus argon laser. Am J Ophthalmol. 2012 Jan;153(1):137-142.e2.
  11. Yun SH, Adelman RA. Recent developments in laser treatment of diabetic retinopathy. Middle East Afr J Ophthalmol. 2015 Apr-Jun;22(2):157-63.
  12.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Research Group. Focal photocoagulation treatment of diabetic macular edema. Relationship of treatment effect to fluorescein angiographic and other retinal characteristics at baseline: ETDRS report no. 19. Arch Ophthalmol. 1995 Sep;113(9):1144-55.
  13. Diabetic Retinopathy Clinical Research Network, Elman MJ, Aiello LP, Beck RW, Bressler NM, Bressler SB, et al. Randomized trial evaluating ranibizumab plus prompt or deferred laser or triamcinolone plus prompt laser for diabetic macular edema. Ophthalmology. 2010 Jun;117(6):1064-1077.e35.
  14. Elman MJ, Ayala A, Bressler NM, Browning D, Flaxel CJ, Glassman AR, et al. Intravitreal Ranibizumab for diabetic macular edema with prompt versus deferred laser treatment: 5-year randomized trial results. Ophthalmology. 2015 Feb;122(2):375-81.
  15. Chhablani J, Roh YJ, Jobling AI, Fletcher EL, Lek JJ, Bansal P, et al. Restorative retinal laser therapy: Present state and future directions. Surv Ophthalmol. 2018 May-Jun;63(3):307-328.
  16. Chhablani J, Mathai A, Rani P, Gupta V, Arevalo JF, Kozak I. Comparison of conventional pattern and novel navigated panretinal photocoagulation in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4 May 15;55(6):3432-8.
  17. Newman DK. Surgical management of the late complications of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Eye (Lond). 2010 Mar;24(3):441-9.
  18. Dikopf MS, Patel KH, Setlur VJ, Lim JI. Surgical outcomes of 25-gauge pars plana vitrectomy for diabetic macular edema. Eye (Lond). 2015 Sep;29(9):1213-9.
  19. Simunovic MP, Hunyor AP, Ho IV. Vitrectomy for diabetic macular ede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an J Ophthalmol. 2014 Apr;49(2):188-95.

 

 

한 고대 문서 이야기

 

한 고대 문서 이야기

여기 한 고대 문서가 있습니다. 이 문서는 B.C. 1,500년 부터 A.D 100년까지 약 1,600 여 년 동안 기록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저자는 약 40 명입니다. 이 문서의 고대 사본은 25,000 개가 넘으나, 사본간 오

gospel79.tistory.com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너무나 위험한 도박 여러분이 식당에서 물을 마시려고 하는데, 어떤 사람이 와서 걱정스러운 목소리로 선생님, 그 물에는 치명적인 독약이 섞여 있으니 절대로 마시지 마십시오! 라고 얘기한다

gospel79.tistory.com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지금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은 소위 '회의론자'일 것입니다. 하나님이 온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고, 예수님을 보내시어 십자가의 대속 사역과 부활을 통해 인간의 죄 문제를 해결하고 '구원의

gospel79.tistory.com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 '하나님은 존재하며, 회개하고 예수님을 믿어야 천국에 간다'는 말이 진실인지 거짓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는, 바로 '신이 존재하는가,

gospel79.tistory.com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연역적 추론에 의한 증명 신이 존재하는지를 '현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은 연역적 추론입니다. 연역적 추론은, 자명하게 '참'이라고 인정되는 전제, 즉, '공리'에서 출발을 해서,

gospel79.tistory.com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귀납적 논증에 의한 증명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두 번째 방법은, 가설 설정에 따른 귀납적 논증입니다. 귀납법이란,여러가지 정보와 증거를 수집하여 그것의 공통적인 속성을 발견해서 추론하

gospel79.tistory.com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현실적인 신의 증거 지금까지는 다소 추상적이고 딱딱한 방법으로 신의 존재를 지지하는 증거를 살펴보았습니다. 지금부터는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신의 증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앞

gospel79.tistory.com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성경에는 수많은 기적과 초자연적인 일들이 기술되어 있다. 모세는 지팡이 하나로 홍해를 갈랐고, 마리아라는 처녀는 혼자 임신해서 예수님을 낳

gospel79.tistory.com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본격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일단 '성경이 대체 어떤 책인지에 대한 여러분이 미처 알지 못하는 객관적인 몇가지 사실을 알아보겠습니다. 성경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 1. 성경은 B.C. 1500년부터 A.D

gospel79.tistory.com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고고학적 신뢰성 성경은 정말로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기록된 '역사적 사실'인가, 아니면 단순히 오래 전에 사람의 생각으로 꾸며 낸 고대 종교 경전인가? 어떤 근거로 성경이라는 고대

gospel79.tistory.com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기타 문헌에 의한 증거 성경에 기록된 사실을 증거하는, 다른 사료가 존재하는가? 기타 사료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 성경의 내용과 부합하는가? 성경은 인위적으로 조작되거나 역사적 사실을

gospel79.tistory.com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고고학적 증거 성경에 나오는 사건, 지명, 유적에 관련된 실제적인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고고학적으로 밝혀진 역사적 사실들은 성경의 내용을 지지하는가? 지금까지 성경은 한 인물에 대해

gospel79.tistory.com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내용에 자체적인 모순이나 오류는 없는가? 성경에 기록된 내용이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는가? 성경에 기록된 수많은 예언이 그대로 성취되었는가? 현재 남아 있는 예언과 현재의 상황은

gospel79.tistory.com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부터는 여러분과 제가 살고 있는 현세대에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예언, 그리고 앞으로 일어날 사건에 대한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겠습니다. 현 세대에 가장 확실하게 성취된 예언은

gospel79.tistory.com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까지는 현재까지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성경에서는 다가올 앞날에 대해서는 어떻게 예언하고 있을까요?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성

gospel79.tistory.com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지금까지 성경의 역사성과 진실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성경은 그냥 신비한 이야기가 난무하는 수많은 고대 종교 경전 중의 하나'라는 막연한 생각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 분명히 깨달으셨

gospel79.tistory.com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현대 과학에서는 생명의 기원에 대해, 원시 대기를 재료로 전기적인 자극이 가해져 우연히 생명체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이 형성되었고, 이들이 조합되어 원시적인 생명체가 출현하고, 이들이

gospel79.tistory.com

6. 체험적인 증거들

 

6. 체험적인 증거들

지금까지는 왜 성경과 하나님이 사실인지를 지지하는 객관적인 증거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런 증거들은 주로 역사적, 과학적 증거들로 강력한 객관성을 지니고 있지만, '내'가 직접 신의 존재

gospel79.tistory.com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하나님은 공의롭고, 사랑이 넘치는 분이라고 주장하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어떻게 사랑의 하나님이 수많은 사람들을 지옥에서 고문할 수 있는가? 사람이 지옥에 가는 이유는 사람의 '죄' 때문

gospel79.tistory.com

8. 결정하셨습니까?

 

8. 결정하셨습니까?

지금까지 오랫동안 왜 여러분이 막연하게 허황되게 보이는 성경과 복음이 거짓이 아닌 확실한 근거가 있는 '진실'인지에 해 살펴보았습니다. 여기까지 보신 분 중에는 정말 성경이 믿을만하다

gospel79.tistory.com

9. 구원의 길

 

9. 구원의 길

여러분이 이제 성경과 복음이 단순히 사람이 꾸며낸 종교적 판타지가 아닌, 분명한 진실임을 아셨다면, 이제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일만 남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gospel79.tistory.com

전직 깡패 박영문씨의 실화

 

전직 깡패 박영문씨의 실화

박영문씨는 젊은 시절 나쁜 친구들과 어울려 소위 말하는 막장 인생을 살던 깡패였습니다. 가정 불화로 아내가 떠나게 되자 복수심에 불타 일가족을 몰살시키려는 무서운 계획을 세우던 중 놀

gospel79.tistory.com

필립 만토파가 직접 겪은 지옥의 참상

 

필립 만토파가 직접 겪은 지옥의 참상

필립 만토파는 인도네시아의 목사님입니다. 어렸을 때 심각한 뇌 장애와 지체 이상으로 고생했으나 어머니의 간절한 기도로 기적적으로 치유받았습니다. 하지만, 그는 건강해진 몸으로 폭력배

gospel79.tistory.com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카라멜로 브레니스의 간증 1982년에, 나는 사고로 죽었었다. 죽음이 나를 엄습했을때, 모든 것이 깜깜했다. 나는 어두운 터널을 홀로 걷고있었고, 어떤 종류의 존재가 나를 데려가고 있었다. 춥고

gospel79.tistory.com

어느 목사님의 화려했던 과거 (실화)

 

어느 목사님의 화려했던 과거 (실화)

복싱 역사상 가장 펀치가 센 선수는 누구일까요? 복싱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다양한 선수들의 이름을 들어볼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마이크 타이슨을 떠올리실 것 같습니다. 타이

gospel79.tistory.com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1. 허무했던 성공 신화 저는 과거에 예수님을 전혀 몰랐었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불교 믿는 집안에서 태어나서, 중3때 미국에 이민을 갔습니다. 미국에 이민 가서,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명문

gospel79.tistory.com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는 1986년부터 13기 공채 KBS 아나운서로 방송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열전 달리는 일요일', '전국일주', '생방송 행복찾기' 등의 프로를 진행했고, 현재는 CTS기독교TV '내가 매일 기

gospel79.tistory.com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ebook (클릭)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gospel79.netlify.app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