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병 환자에게 정기적 안과 검진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안저검사를 통한 당뇨망막병증의 조기 발견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은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13.8%가 앓고 있는 대표적 만성질환입니다.[1] 당뇨병이 장기간 지속되면 그에 따른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눈에 생기는 당뇨망막병증은 실명의 주된 원인으로 꼽힙니다.[2] 실제로 국내 실명 원인의 약 17%를 당뇨망막병증이 차지하고 있다고 하는데요.[3]
그렇다면 당뇨망막병증이 왜 이렇게 위험할까요? 무엇보다 초기에는 자각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이 늦어지기 쉽기 때문입니다.[4] Wisconsin Epidemiologic Study of Diabetic Retinopathy 연구에 따르면 당뇨병 진단 후 5년이 지나서야 약 25%의 환자에서 망막병증이 발견된다고 합니다.[5] 하지만 일단 망막에 손상이 시작되면 급속도로 진행하여 심각한 시력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뇨병 유병 기간이 5년 이상인 경우 매년 안저검사를 받는 것이 필수입니다.[6] 안저검사는 안과 전문의가 검안경을 이용해 망막의 상태를 들여다보는 검사로, 당뇨망막병증의 초기 변화를 발견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7]
안저검사로 확인할 수 있는 당뇨망막병증의 초기 징후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8,9]
- 미세동맥류(microaneurysm) : 망막의 미세혈관이 꽈리 모양으로 부풀어 오르는 현상
- 망막 출혈(retinal hemorrhage) : 모세혈관의 파열로 인한 점상, 반상 모양의 출혈
- 면화반(cotton wool spots) : 망막 신경섬유층의 허혈성 변화로 인한 흰색 반점
- 황반부종(macular edema) : 누출된 체액이 황반부에 고이면서 시력저하를 유발
안저검사 결과 당뇨망막병증으로 진단되면 단계에 따른 적극적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경증 및 중등도 비증식당뇨망막병증에서는 3~6개월 간격의 경과관찰이 필요하며, 황반부종이 동반된 경우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주사치료가 효과적입니다.[10,11]
중증 비증식당뇨망막병증 이상으로 진행하면 범망막광응고술(PRP)을 시행하게 되는데요.[12] 이는 레이저를 이용해 허혈 망막 주변부를 태워 신생혈관 증식을 억제하는 치료법입니다. ETDRS 연구에서 범망막광응고술을 받은 환자군은 위약군에 비해 심한 시력상실의 위험이 약 5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3]
증식당뇨망막병증 단계에 이르면 유리체출혈이나 망막박리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유리체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14] 최근에는 수술 현미경과 미세절개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보다 안전하고 정교한 수술이 가능해졌습니다.[15]
이처럼 당뇨망막병증은 단계별 진행 양상에 따라 치료 방침이 달라지므로 정기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 중 연 1회 이상 안저검사를 시행하는 비율은 36.3%에 불과한 실정입니다.[16]
당뇨망막병증의 위험은 누구에게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20년 이상 오랜 유병기간을 가진 당뇨인의 60% 이상에서 결국 망막병증이 발생한다는 통계가 이를 뒷받침합니다.[17] 또한 당화혈색소,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흡연 등의 위험인자가 있다면 더욱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할 것입니다.[18,19]
물론 바쁜 일상 속에서 매년 안과를 찾는 일이 번거롭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평생 소중한 시력을 지키기 위해서는 이 정도 수고로움쯤은 감수할 만한 가치가 있지 않을까요?
당뇨병과 안과 검진, 이 둘의 필연적 관계를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정기검진으로 망막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극 치료한다면 건강한 눈으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당뇨병을 앓고 계신 여러분, 내일이 아니라 바로 지금 안과 검진을 예약하세요. 이는 단순한 눈 건강 체크가 아닌, 인생의 큰 전환점이 될 수 있는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 함께 실명의 위험에서 벗어나 행복한 삶을 만들어가기를 기대합니다.
References:
- 김동준, 박은정, 권유진. 2019 국민건강통계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20.12, 66p.
- Song SJ, Han K, Choi KS, Ko SH, Rhee EJ, Park CY, et al. Trends in diabetic retinopathy and related medical practices among type 2 diabe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Insurance Service Survey 2006-2013. J Diabetes Investig. 2018 Jan;9(1):173-178.
- Park SJ, Kwon KE, Choi NK, Park KH, Woo SJ. Prevalence and Incidence of Exudativ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South Korea: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Ophthalmology. 2015 Oct;122(10):2063-2070.e1.
- Lee R, Wong TY, Sabanayagam C. Epidemiology of diabetic retinopathy, diabetic macular edema and related vision loss. Eye Vis (Lond). 2015 Sep 30;2:17.
- Klein R, Klein BE, Moss SE, Davis MD, DeMets DL. The Wisconsin epidemiologic study of diabetic retinopathy. II. Prevalence and risk of diabetic retinopathy when age at diagnosis is less than 30 years. Arch Ophthalmol. 1984 Apr;102(4):520-6.
- Solomon SD, Chew E, Duh EJ, Sobrin L, Sun JK, VanderBeek BL, et al. Diabetic Retinopathy: A Position Statement by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Care. 2017 Mar;40(3):412-418.
- Garg S, Davis RM. Diabetic Retinopathy Screening Update. Clinical Diabetes. 2009 Oct;27(4):140-5.
- Wu L, Fernandez-Loaiza P, Sauma J, Hernandez-Bogantes E, Masis M. Classification of diabetic retinopathy and diabetic macular edema. World J Diabetes. 2013 Dec 15;4(6):290-4.
- Wilkinson CP, Ferris FL 3rd, Klein RE, Lee PP, Agardh CD, Davis M, et al. Proposed international clinical diabetic retinopathy and diabetic macular edema disease severity scales. Ophthalmology. 2003 Sep;110(9):1677-82.
- Schmidt-Erfurth U, Garcia-Arumi J, Bandello F, Berg K, Chakravarthy U, Gerendas BS, et 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Diabetic Macular Edema by the European Society of Retina Specialists (EURETINA). Ophthalmologica. 2017;237(4):185-222.
- Nguyen QD, Brown DM, Marcus DM, Boyer DS, Patel S, Feiner L, et al. Ranibizumab for diabetic macular edema: results from 2 phase III randomized trials: RISE and RIDE. Ophthalmology. 2012 Apr;119(4):789-801.
-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research group. Photocoagulation for diabetic macular edema.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report number 1. Arch Ophthalmol. 1985 Dec;103(12):1796-806.
-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Research Group. Early photocoagulation for diabetic retinopathy. ETDRS report number 9. Ophthalmology. 1991 May;98(5 Suppl):766-85.
- Newman DK. Surgical management of the late complications of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Eye (Lond). 2010 Mar;24(3):441-9.
- Yorston D, Wickham L, Benson S, Bunce C, Sheard R, Charteris D. Predictive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s of vitrectomy for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Br J Ophthalmol. 2008 Mar;92(3):365-8.
- Byun SH, Ma SH, Jun JK, Jung KW, Park B. Screening for diabetic retinopathy and nephropathy in patients with diabetes: a nationwide survey in Korea. PLoS One. 2013 May 1;8(5):e62991.
- Fong DS, Aiello L, Gardner TW, King GL, Blankenship G, Cavallerano JD, et al. Retinopathy in diabetes. Diabetes Care. 2004 Jan;27 Suppl 1:S84-7.
- Yau JW, Rogers SL, Kawasaki R, Lamoureux EL, Kowalski JW, Bek T, et al. Global prevalence and major risk factors of diabetic retinopathy. Diabetes Care. 2012 Mar;35(3):556-64.
- Ting DS, Cheung GC, Wong TY. Diabetic retinopathy: global prevalence, major risk factors, screening practices and public health challenges: a review. Clin Exp Ophthalmol. 2016 May;44(4):260-77.
한 고대 문서 이야기
여기 한 고대 문서가 있습니다. 이 문서는 B.C. 1,500년 부터 A.D 100년까지 약 1,600 여 년 동안 기록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저자는 약 40 명입니다. 이 문서의 고대 사본은 25,000 개가 넘으나, 사본간 오
gospel79.tistory.com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너무나 위험한 도박 여러분이 식당에서 물을 마시려고 하는데, 어떤 사람이 와서 걱정스러운 목소리로 선생님, 그 물에는 치명적인 독약이 섞여 있으니 절대로 마시지 마십시오! 라고 얘기한다
gospel79.tistory.com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지금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은 소위 '회의론자'일 것입니다. 하나님이 온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고, 예수님을 보내시어 십자가의 대속 사역과 부활을 통해 인간의 죄 문제를 해결하고 '구원의
gospel79.tistory.com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 '하나님은 존재하며, 회개하고 예수님을 믿어야 천국에 간다'는 말이 진실인지 거짓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는, 바로 '신이 존재하는가,
gospel79.tistory.com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연역적 추론에 의한 증명 신이 존재하는지를 '현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은 연역적 추론입니다. 연역적 추론은, 자명하게 '참'이라고 인정되는 전제, 즉, '공리'에서 출발을 해서,
gospel79.tistory.com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귀납적 논증에 의한 증명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두 번째 방법은, 가설 설정에 따른 귀납적 논증입니다. 귀납법이란,여러가지 정보와 증거를 수집하여 그것의 공통적인 속성을 발견해서 추론하
gospel79.tistory.com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현실적인 신의 증거 지금까지는 다소 추상적이고 딱딱한 방법으로 신의 존재를 지지하는 증거를 살펴보았습니다. 지금부터는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신의 증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앞
gospel79.tistory.com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성경에는 수많은 기적과 초자연적인 일들이 기술되어 있다. 모세는 지팡이 하나로 홍해를 갈랐고, 마리아라는 처녀는 혼자 임신해서 예수님을 낳
gospel79.tistory.com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본격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일단 '성경이 대체 어떤 책인지에 대한 여러분이 미처 알지 못하는 객관적인 몇가지 사실을 알아보겠습니다. 성경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 1. 성경은 B.C. 1500년부터 A.D
gospel79.tistory.com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고고학적 신뢰성 성경은 정말로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기록된 '역사적 사실'인가, 아니면 단순히 오래 전에 사람의 생각으로 꾸며 낸 고대 종교 경전인가? 어떤 근거로 성경이라는 고대
gospel79.tistory.com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기타 문헌에 의한 증거 성경에 기록된 사실을 증거하는, 다른 사료가 존재하는가? 기타 사료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 성경의 내용과 부합하는가? 성경은 인위적으로 조작되거나 역사적 사실을
gospel79.tistory.com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고고학적 증거 성경에 나오는 사건, 지명, 유적에 관련된 실제적인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고고학적으로 밝혀진 역사적 사실들은 성경의 내용을 지지하는가? 지금까지 성경은 한 인물에 대해
gospel79.tistory.com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내용에 자체적인 모순이나 오류는 없는가? 성경에 기록된 내용이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는가? 성경에 기록된 수많은 예언이 그대로 성취되었는가? 현재 남아 있는 예언과 현재의 상황은
gospel79.tistory.com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부터는 여러분과 제가 살고 있는 현세대에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예언, 그리고 앞으로 일어날 사건에 대한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겠습니다. 현 세대에 가장 확실하게 성취된 예언은
gospel79.tistory.com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까지는 현재까지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성경에서는 다가올 앞날에 대해서는 어떻게 예언하고 있을까요?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성
gospel79.tistory.com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지금까지 성경의 역사성과 진실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성경은 그냥 신비한 이야기가 난무하는 수많은 고대 종교 경전 중의 하나'라는 막연한 생각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 분명히 깨달으셨
gospel79.tistory.com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현대 과학에서는 생명의 기원에 대해, 원시 대기를 재료로 전기적인 자극이 가해져 우연히 생명체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이 형성되었고, 이들이 조합되어 원시적인 생명체가 출현하고, 이들이
gospel79.tistory.com
6. 체험적인 증거들
지금까지는 왜 성경과 하나님이 사실인지를 지지하는 객관적인 증거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런 증거들은 주로 역사적, 과학적 증거들로 강력한 객관성을 지니고 있지만, '내'가 직접 신의 존재
gospel79.tistory.com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하나님은 공의롭고, 사랑이 넘치는 분이라고 주장하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어떻게 사랑의 하나님이 수많은 사람들을 지옥에서 고문할 수 있는가? 사람이 지옥에 가는 이유는 사람의 '죄' 때문
gospel79.tistory.com
8. 결정하셨습니까?
지금까지 오랫동안 왜 여러분이 막연하게 허황되게 보이는 성경과 복음이 거짓이 아닌 확실한 근거가 있는 '진실'인지에 해 살펴보았습니다. 여기까지 보신 분 중에는 정말 성경이 믿을만하다
gospel79.tistory.com
9. 구원의 길
여러분이 이제 성경과 복음이 단순히 사람이 꾸며낸 종교적 판타지가 아닌, 분명한 진실임을 아셨다면, 이제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일만 남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gospel79.tistory.com
전직 깡패 박영문씨의 실화
박영문씨는 젊은 시절 나쁜 친구들과 어울려 소위 말하는 막장 인생을 살던 깡패였습니다. 가정 불화로 아내가 떠나게 되자 복수심에 불타 일가족을 몰살시키려는 무서운 계획을 세우던 중 놀
gospel79.tistory.com
필립 만토파가 직접 겪은 지옥의 참상
필립 만토파는 인도네시아의 목사님입니다. 어렸을 때 심각한 뇌 장애와 지체 이상으로 고생했으나 어머니의 간절한 기도로 기적적으로 치유받았습니다. 하지만, 그는 건강해진 몸으로 폭력배
gospel79.tistory.com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카라멜로 브레니스의 간증 1982년에, 나는 사고로 죽었었다. 죽음이 나를 엄습했을때, 모든 것이 깜깜했다. 나는 어두운 터널을 홀로 걷고있었고, 어떤 종류의 존재가 나를 데려가고 있었다. 춥고
gospel79.tistory.com
어느 목사님의 화려했던 과거 (실화)
복싱 역사상 가장 펀치가 센 선수는 누구일까요? 복싱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다양한 선수들의 이름을 들어볼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마이크 타이슨을 떠올리실 것 같습니다. 타이
gospel79.tistory.com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1. 허무했던 성공 신화 저는 과거에 예수님을 전혀 몰랐었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불교 믿는 집안에서 태어나서, 중3때 미국에 이민을 갔습니다. 미국에 이민 가서,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명문
gospel79.tistory.com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는 1986년부터 13기 공채 KBS 아나운서로 방송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열전 달리는 일요일', '전국일주', '생방송 행복찾기' 등의 프로를 진행했고, 현재는 CTS기독교TV '내가 매일 기
gospel79.tistory.com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gospel79.netlify.app
'내분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 망막병증과 고혈압, 위험 인자 관리의 중요성 (0) | 2024.04.03 |
---|---|
당뇨 망막병증과 황반부종, 치료 옵션 탐구 (1) | 2024.04.03 |
당뇨 망막병증과 실명의 위험, 예방이 중요한 이유 (0) | 2024.04.03 |
당뇨 망막병증의 단계별 진행 과정 (0) | 2024.04.03 |
당뇨 망막병증 환자를 위한 생활 습관 가이드 (0) | 2024.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