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분비

당뇨 망막병증 환자를 위한 생활 습관 가이드

by drlee79 2024. 4. 3.
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 망막병증 환자들이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생활 습관 가이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은 당뇨병의 가장 흔하고 심각한 미세혈관 합병증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성인 실명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1] 국내 역학조사에 따르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약 15~17%가 망막병증을 가지고 있으며, 당뇨병 유병 기간이 15년 이상인 경우 그 비율이 5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3] 

망막병증의 발생과 진행에는 고혈당이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로 작용합니다. DCCT(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 Trial) 연구에서는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적극적 혈당 조절 시 망막병증의 발생 위험이 76% 감소함을 보고한 바 있습니다.[4] 제2형 당뇨병에서도 UKPDS(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를 통해 엄격한 혈당 관리의 효과가 입증되었는데요.[5] 따라서 당뇨 망막병증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철저한 혈당 조절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권장 혈당 조절 목표(대한당뇨병학회 2021 당뇨병 진료지침)[6]* 
- 당화혈색소(HbA1c) < 6.5%
- 식전 혈당 80~130 mg/dL
- 식후 2시간 혈당 < 180 mg/dL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생활습관과 함께 적절한 약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경구혈당강하제나 인슐린 용량은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여 조절해야 하며, 저혈당 예방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7] 

혈압 관리 또한 망막병증 예방에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UKPDS 연구에서는 수축기 혈압을 10 mmHg 낮출 때마다 망막병증의 진행 위험이 1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8] 이에 당뇨병 환자에서는 130/80 mmHg 미만의 혈압을 목표로 생활 요법과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9]

아울러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적극적 관리도 필요한데요. 혈중 L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것이 미세혈관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10] 이를 위해 규칙적 운동과 함께 포화지방, 트랜스지방의 섭취를 제한하고 불포화지방을 충분히 공급하는 식습관 개선이 요구됩니다.[11]

생활습관 중에서는 금연이 망막병증 예방에 가장 효과적입니다. 메타분석 연구 결과 현재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망막병증 발생 위험이 1.37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12] 따라서 흡연 중인 당뇨병 환자는 금연을 적극 실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운동은 체중 감량과 함께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 개선에 직접적인 도움이 됩니다. 주 3회 이상, 회당 30분 이상의 중등도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권장됩니다.[13] 다만 증식당뇨망막병증이 있는 경우 격렬한 운동은 오히려 유리체출혈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14] 

식사는 하루 세끼를 규칙적으로 하되 과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15] 균형 잡힌 영양소 구성을 위해 탄수화물 50~60%, 단백질 15~20%, 지방 20~25% 비율로 구성하며, 특히 과일, 채소, 통곡물의 섭취를 늘리는 것이 도움됩니다.[16] 술은 혈당 조절을 방해하고 저혈당의 위험을 높일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17]

스트레스 관리 또한 당뇨 환자에게 중요한 과제입니다. 만성 스트레스는 교감신경계 활성화와 코르티솔, 글루카곤 분비를 촉진해 혈당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됩니다.[18]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심호흡, 명상, 취미활동 등을 규칙적으로 실천하시기 바랍니다.

당뇨 망막병증 예방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안저검사가 필수적입니다. 제1형 당뇨병은 진단 후 3~5년부터, 제2형은 진단 시점부터 매년 안저검사를 받아야 합니다.[19] 검사 주기는 망막병증의 진행 정도에 따라 3개월~1년으로 조정될 수 있습니다.[20] 시력 저하, 비문증, 흐려 보임 등의 증상이 있다면 빠른 내원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당뇨 망막병증 환자가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생활습관 가이드를 살펴보았습니다. 망막병증의 발생과 진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철저한 혈당 관리가 기본이 되어야 합니다. 아울러 정상 혈압과 혈중 지질 유지, 금연, 규칙적 운동, 균형 잡힌 식사, 스트레스 관리 등 종합적인 생활습관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입니다. 

물론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바꾼다는 것이 쉽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한 번에 한 가지씩, 일상에서 꾸준히 실천해 나간다면 분명 긍정적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소중한 눈 건강을 지키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환자 스스로의 의지와 실천입니다.

정기적 안저검사를 통해 망막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이상 소견이 발견되면 신속히 치료받는 것 또한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환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자기관리와 전문의의 체계적 진료가 어우러질 때 당뇨 망막병증을 성공적으로 예방하고 극복해낼 수 있을 것입니다. 

긴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의 포스팅이 당뇨 망막병증으로 고민하시는 많은 분들께 유익한 정보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로 질문 남겨주시고, 정기 검진으로 건강한 눈과 삶을 지켜가시길 응원하겠습니다.

References
1. Wong TY, Sun J, Kawasaki R, Ruamviboonsuk P, Gupta N, Lansingh VC, et al. Guidelines on Diabetic Eye Care: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Ophthalmology Recommendations for Screening, Follow-up, Referral, and Treatment Based on Resource Settings. Ophthalmology. 2018 Oct;125(10):1608-1622. 
2. Song SJ, Han K, Choi KS, Ko SH, Rhee EJ, Park CY, et al. Trends in diabetic retinopathy and related medical practices among type 2 diabetes patients: Results from the National Insurance Service Survey 2006-2013. J Diabetes Investig. 2018 Jan;9(1):173-178.
3. Yun JS, Lim TS, Cha SA, Ahn YB, Song KH, Choi JA, et al. Clinical Course and Risk Factors of Diabetic Retinopath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in Korea. Diabetes Metab J. 2016 Dec;40(6):482-493.
4.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Research Group, Nathan DM, Genuth S, Lachin J, Cleary P, Crofford O, et al. The effect of intensive treatment of diabetes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long-term complications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N Engl J Med. 1993 Sep 30;329(14):977-86.
5.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Group. Intensive blood-glucose control with sulphonylureas or insuli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 and risk of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UKPDS 33). Lancet. 1998 Sep 12;352(9131):837-53. 
6. 김대중, 김상수, 김소헌, 김재현, 남홍우, 박석오, 외. 2021 당뇨병 진료지침. 임상당뇨병. 2021;22(1):S1-S232.
7.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21 Abridged for Primary Care Providers. Clin Diabetes. 2021 Jan;39(1):14-43.  
8. Stratton IM, Kohner EM, Aldington SJ, Turner RC, Holman RR, Manley SE, et al. UKPDS 50: risk factors for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retinopathy in Type II diabetes over 6 years from diagnosis. Diabetologia. 2001 Feb;44(2):156-63. 
9. Shin DW, Lee J, Kim H, Yoon HJ, Hutchinson N, Cho B. Blood Pressure and Progression of Diabetic Retinopath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 Diabetes Res. 2020 Oct 8;2020:2041741.  
10. Girach A, Manner D, Porta M.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s: can patients at risk be identified? A review. Int J Clin Pract. 2006 Nov;60(11):1471-83. 
11. Maki KC. Dietary factors in the preven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coronary artery disease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m J Cardiol. 2004 Jun 17;93(11A):12C-17C. 
12. Cai X, Chen Y, Yang W, Gao X, Han X, Ji L. The association of smoking and risk of diabetic retinopathy in patients with type 1 and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Endocrine. 2018 Sep;62(2):299-306. 
13. Colberg SR, Sigal RJ, Yardley JE, Riddell MC, Dunstan DW, Dempsey PC, et al. Physical Activity/Exercise and Diabetes: A Position Statement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Care. 2016 Nov;39(11):2065-2079. 
14. Röckl KS, Witczak CA, Goodyear LJ. Signaling mechanisms in skeletal muscle: acute responses and chronic adaptations to exercise. IUBMB Life. 2008 Mar;60(3):145-53.  
15. Morris SF, Wylie-Rosett J. Medical nutrition therapy: a key to diabetes management and prevention. Clinical Diabetes. 2010 Jan 1;28(1):12-8. 
16. Ley SH, Hamdy O, Mohan V, Hu FB.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dietary components and nutritional strategies. Lancet. 2014 Jun 7;383(9933):1999-2007. 
17. Emanuele NV, Swade TF, Emanuele MA. Consequences of alcohol use in diabetics. Alcohol Health Res World. 1998;22(3):211-9.
18. Surwit RS, Schneider MS, Feinglos MN. Stress and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1992 Oct;15(10):1413-22.
19. Solomon SD, Chew E, Duh EJ, Sobrin L, Sun JK, VanderBeek BL, et al. Diabetic Retinopathy: A Position Statement by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Care. 2017 Mar;40(3):412-418.  
20. Wong TY, Sabanayagam C. Strategies to Tackle the Global Burden of Diabetic Retinopathy: From Epidemiology to Artificial Intelligence. Ophthalmologica. 2020;243(1):9-20.

 

 

 

한 고대 문서 이야기

 

한 고대 문서 이야기

여기 한 고대 문서가 있습니다. 이 문서는 B.C. 1,500년 부터 A.D 100년까지 약 1,600 여 년 동안 기록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저자는 약 40 명입니다. 이 문서의 고대 사본은 25,000 개가 넘으나, 사본간 오

gospel79.tistory.com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너무나 위험한 도박 여러분이 식당에서 물을 마시려고 하는데, 어떤 사람이 와서 걱정스러운 목소리로 선생님, 그 물에는 치명적인 독약이 섞여 있으니 절대로 마시지 마십시오! 라고 얘기한다

gospel79.tistory.com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지금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은 소위 '회의론자'일 것입니다. 하나님이 온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고, 예수님을 보내시어 십자가의 대속 사역과 부활을 통해 인간의 죄 문제를 해결하고 '구원의

gospel79.tistory.com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 '하나님은 존재하며, 회개하고 예수님을 믿어야 천국에 간다'는 말이 진실인지 거짓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는, 바로 '신이 존재하는가,

gospel79.tistory.com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연역적 추론에 의한 증명 신이 존재하는지를 '현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은 연역적 추론입니다. 연역적 추론은, 자명하게 '참'이라고 인정되는 전제, 즉, '공리'에서 출발을 해서,

gospel79.tistory.com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귀납적 논증에 의한 증명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두 번째 방법은, 가설 설정에 따른 귀납적 논증입니다. 귀납법이란,여러가지 정보와 증거를 수집하여 그것의 공통적인 속성을 발견해서 추론하

gospel79.tistory.com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현실적인 신의 증거 지금까지는 다소 추상적이고 딱딱한 방법으로 신의 존재를 지지하는 증거를 살펴보았습니다. 지금부터는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신의 증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앞

gospel79.tistory.com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성경에는 수많은 기적과 초자연적인 일들이 기술되어 있다. 모세는 지팡이 하나로 홍해를 갈랐고, 마리아라는 처녀는 혼자 임신해서 예수님을 낳

gospel79.tistory.com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본격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일단 '성경이 대체 어떤 책인지에 대한 여러분이 미처 알지 못하는 객관적인 몇가지 사실을 알아보겠습니다. 성경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 1. 성경은 B.C. 1500년부터 A.D

gospel79.tistory.com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고고학적 신뢰성 성경은 정말로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기록된 '역사적 사실'인가, 아니면 단순히 오래 전에 사람의 생각으로 꾸며 낸 고대 종교 경전인가? 어떤 근거로 성경이라는 고대

gospel79.tistory.com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기타 문헌에 의한 증거 성경에 기록된 사실을 증거하는, 다른 사료가 존재하는가? 기타 사료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 성경의 내용과 부합하는가? 성경은 인위적으로 조작되거나 역사적 사실을

gospel79.tistory.com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고고학적 증거 성경에 나오는 사건, 지명, 유적에 관련된 실제적인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고고학적으로 밝혀진 역사적 사실들은 성경의 내용을 지지하는가? 지금까지 성경은 한 인물에 대해

gospel79.tistory.com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내용에 자체적인 모순이나 오류는 없는가? 성경에 기록된 내용이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는가? 성경에 기록된 수많은 예언이 그대로 성취되었는가? 현재 남아 있는 예언과 현재의 상황은

gospel79.tistory.com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부터는 여러분과 제가 살고 있는 현세대에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예언, 그리고 앞으로 일어날 사건에 대한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겠습니다. 현 세대에 가장 확실하게 성취된 예언은

gospel79.tistory.com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까지는 현재까지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성경에서는 다가올 앞날에 대해서는 어떻게 예언하고 있을까요?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성

gospel79.tistory.com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지금까지 성경의 역사성과 진실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성경은 그냥 신비한 이야기가 난무하는 수많은 고대 종교 경전 중의 하나'라는 막연한 생각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 분명히 깨달으셨

gospel79.tistory.com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현대 과학에서는 생명의 기원에 대해, 원시 대기를 재료로 전기적인 자극이 가해져 우연히 생명체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이 형성되었고, 이들이 조합되어 원시적인 생명체가 출현하고, 이들이

gospel79.tistory.com

6. 체험적인 증거들

 

6. 체험적인 증거들

지금까지는 왜 성경과 하나님이 사실인지를 지지하는 객관적인 증거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런 증거들은 주로 역사적, 과학적 증거들로 강력한 객관성을 지니고 있지만, '내'가 직접 신의 존재

gospel79.tistory.com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하나님은 공의롭고, 사랑이 넘치는 분이라고 주장하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어떻게 사랑의 하나님이 수많은 사람들을 지옥에서 고문할 수 있는가? 사람이 지옥에 가는 이유는 사람의 '죄' 때문

gospel79.tistory.com

8. 결정하셨습니까?

 

8. 결정하셨습니까?

지금까지 오랫동안 왜 여러분이 막연하게 허황되게 보이는 성경과 복음이 거짓이 아닌 확실한 근거가 있는 '진실'인지에 해 살펴보았습니다. 여기까지 보신 분 중에는 정말 성경이 믿을만하다

gospel79.tistory.com

9. 구원의 길

 

9. 구원의 길

여러분이 이제 성경과 복음이 단순히 사람이 꾸며낸 종교적 판타지가 아닌, 분명한 진실임을 아셨다면, 이제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일만 남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gospel79.tistory.com

전직 깡패 박영문씨의 실화

 

전직 깡패 박영문씨의 실화

박영문씨는 젊은 시절 나쁜 친구들과 어울려 소위 말하는 막장 인생을 살던 깡패였습니다. 가정 불화로 아내가 떠나게 되자 복수심에 불타 일가족을 몰살시키려는 무서운 계획을 세우던 중 놀

gospel79.tistory.com

필립 만토파가 직접 겪은 지옥의 참상

 

필립 만토파가 직접 겪은 지옥의 참상

필립 만토파는 인도네시아의 목사님입니다. 어렸을 때 심각한 뇌 장애와 지체 이상으로 고생했으나 어머니의 간절한 기도로 기적적으로 치유받았습니다. 하지만, 그는 건강해진 몸으로 폭력배

gospel79.tistory.com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카라멜로 브레니스의 간증 1982년에, 나는 사고로 죽었었다. 죽음이 나를 엄습했을때, 모든 것이 깜깜했다. 나는 어두운 터널을 홀로 걷고있었고, 어떤 종류의 존재가 나를 데려가고 있었다. 춥고

gospel79.tistory.com

어느 목사님의 화려했던 과거 (실화)

 

어느 목사님의 화려했던 과거 (실화)

복싱 역사상 가장 펀치가 센 선수는 누구일까요? 복싱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다양한 선수들의 이름을 들어볼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마이크 타이슨을 떠올리실 것 같습니다. 타이

gospel79.tistory.com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1. 허무했던 성공 신화 저는 과거에 예수님을 전혀 몰랐었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불교 믿는 집안에서 태어나서, 중3때 미국에 이민을 갔습니다. 미국에 이민 가서,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명문

gospel79.tistory.com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는 1986년부터 13기 공채 KBS 아나운서로 방송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열전 달리는 일요일', '전국일주', '생방송 행복찾기' 등의 프로를 진행했고, 현재는 CTS기독교TV '내가 매일 기

gospel79.tistory.com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ebook (클릭)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gospel79.netlify.app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