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분비

당뇨 망막병증의 단계별 진행 과정

by drlee79 2024. 4. 3.
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당뇨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 합병증, 당뇨 망막병증의 단계별 진행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은 당뇨병 환자에서 망막의 미세혈관에 병변이 생기는 질환입니다.[1]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률이 2016년 기준 13.7%에 달하고 있는 가운데, 당뇨병 환자의 약 15~50%가 망막병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3] 2018년 대한당뇨병학회 epidemiology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당뇨병 환자 중 망막병증 유병률은 15.9%로 조사되었습니다.[4]

 

 

당뇨 망막병증은 단계에 따라 비증식 당뇨망막병증(NPDR, 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과 증식 당뇨망막병증(PDR,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으로 구분됩니다.[5] NPDR은 다시 경증, 중등도, 중증으로 세분화되는데요. 각 단계별 진행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경증 NPDR 단계

초기 단계로서 망막 조직의 모세혈관에서 미세동맥류(microaneurysm)이 형성되기 시작합니다.[6] 이는 혈관벽의 약화로 인해 국소적으로 혈관이 확장되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현상인데요. 안저 검사상 불규칙한 점상 출혈의 형태로 관찰됩니다.[7] 이 시기에는 자각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정기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중등도 NPDR 단계

질환이 진행되면서 점차 망막 심층부의 모세혈관에도 혈류 장애가 발생하게 됩니다.[8] 미세동맥류의 수가 증가하고 크기도 커지며, 혈관 폐쇄로 인해 면화반(cotton wool spots)이 관찰됩니다.[9] 또한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항진되면서 황반부 부종(macular edema)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10] 2002년 ETDRS(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결과에 따르면 중등도 NPDR 환자의 6.5%에서 1년 내 중증 NPDR이나 PDR로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1]

 

중증 NPDR 단계

허혈 범위가 광범위해지면서 망막 모세혈관의 폐쇄가 더욱 뚜렷해지는 단계입니다.[12] 망막 조직으로의 혈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심한 비관류(nonperfusion) 영역이 관찰됩니다.[13] 이는 형광 안저 혈관 조영술(fluorescein angiography)에서 과형광 누출이나 모세혈관 폐쇄 소견으로 확인됩니다.[14] ETDRS 연구에 따르면 이 단계의 환자 중 50.2%가 1년 이내 PDR로 이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15]

 

PDR 단계

당뇨 망막병증의 가장 위중한 단계로서, 망막의 광범위한 허혈로 인해 신생혈관(neovascularization)이 형성되기 시작합니다.[16] 망막 주변부나 시신경 유두 주위로 불규칙한 혈관이 증식하는데, 그 벽이 약해 쉽게 파열되어 유리체 출혈(vitreous hemorrhage)을 일으키곤 합니다.[17] 출혈이 반복되면서 증식 조직의 수축이 일어나면 견인성 망막 박리(tractional retinal detachment)로까지 진행할 수 있습니다.[18] 또한 신생혈관이 홍채나 전방각에 발생하는 경우 신생혈관 녹내장(neovascular glaucoma)을 유발해 급격한 시력 저하와 안압 상승, 심한 안통을 초래하기도 합니다.[19]

 

PDR의 치료로는 범망막 광응고술(PRP, panretinal photocoagulation)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20] 레이저를 이용해 망막 주변부의 허혈 조직을 응고시킴으로써 신생혈관의 증식을 억제하는 원리인데요.[21] ETDRS에서는 고위험 PDR 환자에서 PRP 시행 시 5년 내 중증 시력 손실의 위험도를 50% 감소시키는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22] 최근에는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주입술을 병행하여 PRP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습니다.[23,24]

 

유리체 출혈이나 망막 박리 등의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유리체절제술(vitrectomy)을 시행하게 됩니다.[25] 현재 초광각 안저 촬영 장비와 미세절개 수술 기법의 발달로 보다 안전하고 정교한 시술이 가능해졌는데요.[26] 수술 후에도 재발 방지를 위해 철저한 혈당 관리와 정기적 경과 관찰이 필수적입니다.[27]

 

지금까지 당뇨 망막병증의 단계별 진행 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초기부터 망막 조직의 미세혈관에 변화가 시작되어 비증식 단계를 거쳐 증식 단계에 이르기까지 복잡한 병태생리학적 기전이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중증 단계로 진행할수록 비가역적 시력 손실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조기 진단과 적극적 치료 개입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따라서 당뇨병 유병 기간이 5년 이상인 경우 매년 정기적인 안저 검사를 시행하여 망막 합병증 발생 여부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28]

 

아울러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 등의 전신 인자들을 철저히 관리함으로써 당뇨 망막병증의 발생과 진행을 예방하고 지연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29,30] 건강한 생활습관 실천과 적극적 치료를 통해 소중한 시력을 지켜내는 일, 결코 포기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References:

  1. Cheung N, Mitchell P, Wong TY. Diabetic retinopathy. Lancet. 2010 Jul 10;376(9735):124-36.
  2. Yoon KH, Lee JH, Kim JW, Cho JH, Choi YH, Ko SH, et al. Epidemic obesity and type 2 diabetes in Asia. Lancet. 2006 Nov 11;368(9548):1681-8.
  3. Song SJ, Han K, Choi KS, Ko SH, Rhee EJ, Park CY, et al. Trends in diabetic retinopathy and related medical practices among type 2 diabe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Insurance Service Survey 2006-2013. J Diabetes Investig. 2018 Jan;9(1):173-178.
  4. Jung CH, Son JW, Kang S, Kim WJ, Kim HS, Kim HS, et al. Diabetes Fact Sheets in Korea, 2020: An Appraisal of Current Status. Diabetes Metab J. 2021 Feb;45(1):1-10.
  5. Wilkinson CP, Ferris FL 3rd, Klein RE, Lee PP, Agardh CD, Davis M, et al. Proposed international clinical diabetic retinopathy and diabetic macular edema disease severity scales. Ophthalmology. 2003 Sep;110(9):1677-82.
  6. Cogan DG, Toussaint D, Kuwabara T. Retinal vascular patterns. IV. Diabetic retinopathy. Arch Ophthalmol. 1961 Sep;66(3):366-78.
  7.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Research Group. Fundus photographic risk factors for progression of diabetic retinopathy. ETDRS report number 12. Ophthalmology. 1991 May;98(5 Suppl):823-33.
  8. Aroca PR, Salvat M, Fernández J, Méndez I. Risk factors for diffuse and focal macular edema. J Diabetes Complications. 2004 Jul-Aug;18(4):211-5.
  9. Zhang X, Saaddine JB, Chou CF, Cotch MF, Cheng YJ, Geiss LS, et al. Prevalence of diabetic retinopathy in the United States, 2005-2008. JAMA. 2010 Aug 11;304(6):649-56.
  10. Klein R, Klein BE, Moss SE, Davis MD, DeMets DL. The Wisconsin epidemiologic study of diabetic retinopathy. IV. Diabetic macular edema. Ophthalmology. 1984 Dec;91(12):1464-74.
  11.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Research Group. Early photocoagulation for diabetic retinopathy. ETDRS report number 9. Ophthalmology. 1991 May;98(5 Suppl):766-85.
  12. Wessel MM, Nair N, Aaker GD, Ehrlich JR, D'Amico DJ, Kiss S. Peripheral retinal ischaemia, as evaluated by ultra-widefield fluorescein angiography, is associated with diabetic macular oedema. Br J Ophthalmol. 2012 May;96(5):694-8.
  13. Sim DA, Keane PA, Zarranz-Ventura J, Fung S, Powner MB, Platteau E, et al. The effects of macular ischemia on visual acuity in diabetic retinopathy.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3 Mar 28;54(3):2353-60.
  14. Conrath J, Giorgi R, Raccah D, Ridings B. Foveal avascular zone in diabetic retinopathy: quantitative vs qualitative assessment. Eye (Lond). 2005 Mar;19(3):322-6.
  15. Davis MD, Fisher MR, Gangnon RE, Barton F, Aiello LM, Chew EY, et al. Risk factors for high-risk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and severe visual loss: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Report #18.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8 Feb;39(2):233-52.
  16. Aiello LP, Avery RL, Arrigg PG, Keyt BA, Jampel HD, Shah ST, et al.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ocular fluid of patients with diabetic retinopathy and other retinal disorders. N Engl J Med. 1994 Dec 1;331(22):1480-7.
  17. Diabetic Retinopathy Clinical Research Network, Elman MJ, Aiello LP, Beck RW, Bressler NM, Bressler SB, et al. Randomized trial evaluating ranibizumab plus prompt or deferred laser or triamcinolone plus prompt laser for diabetic macular edema. Ophthalmology. 2010 Jun;117(6):1064-1077.e35.
  18. Zhao Y, Singh RP. The role of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VEGF) in the management of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Drugs Context. 2018 Aug 13;7:212532.
  19. Shazly TA, Latina MA. Neovascular glaucoma: etiology, diagnosis and prognosis. Semin Ophthalmol. 2009 Mar-Apr;24(2):113-21.
  20.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Research Group. Early photocoagulation for diabetic retinopathy. ETDRS report number 9. Ophthalmology. 1991 May;98(5 Suppl):766-85.
  21. Brucker AJ, Qin H, Antoszyk AN, Beck RW, Bressler NM, Browning DJ, et al. Observation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diabetic macular edema following panretinal (scatter) photocoagulation given in 1 or 4 sittings. Arch Ophthalmol. 2009 Feb;127(2):132-40.
  22. Chew EY, Ferris FL 3rd, Csaky KG, Murphy RP, Agrón E, Thompson DJ, et al. The long-term effects of laser photocoagulation treatment in patients with diabetic retinopathy: the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follow-up study. Ophthalmology. 2003 Sep;110(9):1683-9.
  23. Fazel F, Bagheri M, Golabchi K, Jahanbani Ardakani H. Comparison of subthreshold diode laser micropulse therapy versus conventional photocoagulation laser therapy as primary treatment of diabetic macular edema. J Curr Ophthalmol. 2016

 

 

 

 

 

한 고대 문서 이야기

 

한 고대 문서 이야기

여기 한 고대 문서가 있습니다. 이 문서는 B.C. 1,500년 부터 A.D 100년까지 약 1,600 여 년 동안 기록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저자는 약 40 명입니다. 이 문서의 고대 사본은 25,000 개가 넘으나, 사본간 오

gospel79.tistory.com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너무나 위험한 도박 여러분이 식당에서 물을 마시려고 하는데, 어떤 사람이 와서 걱정스러운 목소리로 선생님, 그 물에는 치명적인 독약이 섞여 있으니 절대로 마시지 마십시오! 라고 얘기한다

gospel79.tistory.com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지금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은 소위 '회의론자'일 것입니다. 하나님이 온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고, 예수님을 보내시어 십자가의 대속 사역과 부활을 통해 인간의 죄 문제를 해결하고 '구원의

gospel79.tistory.com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 '하나님은 존재하며, 회개하고 예수님을 믿어야 천국에 간다'는 말이 진실인지 거짓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는, 바로 '신이 존재하는가,

gospel79.tistory.com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연역적 추론에 의한 증명 신이 존재하는지를 '현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은 연역적 추론입니다. 연역적 추론은, 자명하게 '참'이라고 인정되는 전제, 즉, '공리'에서 출발을 해서,

gospel79.tistory.com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귀납적 논증에 의한 증명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두 번째 방법은, 가설 설정에 따른 귀납적 논증입니다. 귀납법이란,여러가지 정보와 증거를 수집하여 그것의 공통적인 속성을 발견해서 추론하

gospel79.tistory.com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현실적인 신의 증거 지금까지는 다소 추상적이고 딱딱한 방법으로 신의 존재를 지지하는 증거를 살펴보았습니다. 지금부터는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신의 증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앞

gospel79.tistory.com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성경에는 수많은 기적과 초자연적인 일들이 기술되어 있다. 모세는 지팡이 하나로 홍해를 갈랐고, 마리아라는 처녀는 혼자 임신해서 예수님을 낳

gospel79.tistory.com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본격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일단 '성경이 대체 어떤 책인지에 대한 여러분이 미처 알지 못하는 객관적인 몇가지 사실을 알아보겠습니다. 성경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 1. 성경은 B.C. 1500년부터 A.D

gospel79.tistory.com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고고학적 신뢰성 성경은 정말로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기록된 '역사적 사실'인가, 아니면 단순히 오래 전에 사람의 생각으로 꾸며 낸 고대 종교 경전인가? 어떤 근거로 성경이라는 고대

gospel79.tistory.com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기타 문헌에 의한 증거 성경에 기록된 사실을 증거하는, 다른 사료가 존재하는가? 기타 사료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 성경의 내용과 부합하는가? 성경은 인위적으로 조작되거나 역사적 사실을

gospel79.tistory.com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고고학적 증거 성경에 나오는 사건, 지명, 유적에 관련된 실제적인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고고학적으로 밝혀진 역사적 사실들은 성경의 내용을 지지하는가? 지금까지 성경은 한 인물에 대해

gospel79.tistory.com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내용에 자체적인 모순이나 오류는 없는가? 성경에 기록된 내용이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는가? 성경에 기록된 수많은 예언이 그대로 성취되었는가? 현재 남아 있는 예언과 현재의 상황은

gospel79.tistory.com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부터는 여러분과 제가 살고 있는 현세대에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예언, 그리고 앞으로 일어날 사건에 대한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겠습니다. 현 세대에 가장 확실하게 성취된 예언은

gospel79.tistory.com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까지는 현재까지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성경에서는 다가올 앞날에 대해서는 어떻게 예언하고 있을까요?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성

gospel79.tistory.com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지금까지 성경의 역사성과 진실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성경은 그냥 신비한 이야기가 난무하는 수많은 고대 종교 경전 중의 하나'라는 막연한 생각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 분명히 깨달으셨

gospel79.tistory.com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현대 과학에서는 생명의 기원에 대해, 원시 대기를 재료로 전기적인 자극이 가해져 우연히 생명체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이 형성되었고, 이들이 조합되어 원시적인 생명체가 출현하고, 이들이

gospel79.tistory.com

6. 체험적인 증거들

 

6. 체험적인 증거들

지금까지는 왜 성경과 하나님이 사실인지를 지지하는 객관적인 증거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런 증거들은 주로 역사적, 과학적 증거들로 강력한 객관성을 지니고 있지만, '내'가 직접 신의 존재

gospel79.tistory.com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하나님은 공의롭고, 사랑이 넘치는 분이라고 주장하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어떻게 사랑의 하나님이 수많은 사람들을 지옥에서 고문할 수 있는가? 사람이 지옥에 가는 이유는 사람의 '죄' 때문

gospel79.tistory.com

8. 결정하셨습니까?

 

8. 결정하셨습니까?

지금까지 오랫동안 왜 여러분이 막연하게 허황되게 보이는 성경과 복음이 거짓이 아닌 확실한 근거가 있는 '진실'인지에 해 살펴보았습니다. 여기까지 보신 분 중에는 정말 성경이 믿을만하다

gospel79.tistory.com

9. 구원의 길

 

9. 구원의 길

여러분이 이제 성경과 복음이 단순히 사람이 꾸며낸 종교적 판타지가 아닌, 분명한 진실임을 아셨다면, 이제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일만 남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gospel79.tistory.com

전직 깡패 박영문씨의 실화

 

전직 깡패 박영문씨의 실화

박영문씨는 젊은 시절 나쁜 친구들과 어울려 소위 말하는 막장 인생을 살던 깡패였습니다. 가정 불화로 아내가 떠나게 되자 복수심에 불타 일가족을 몰살시키려는 무서운 계획을 세우던 중 놀

gospel79.tistory.com

필립 만토파가 직접 겪은 지옥의 참상

 

필립 만토파가 직접 겪은 지옥의 참상

필립 만토파는 인도네시아의 목사님입니다. 어렸을 때 심각한 뇌 장애와 지체 이상으로 고생했으나 어머니의 간절한 기도로 기적적으로 치유받았습니다. 하지만, 그는 건강해진 몸으로 폭력배

gospel79.tistory.com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카라멜로 브레니스의 간증 1982년에, 나는 사고로 죽었었다. 죽음이 나를 엄습했을때, 모든 것이 깜깜했다. 나는 어두운 터널을 홀로 걷고있었고, 어떤 종류의 존재가 나를 데려가고 있었다. 춥고

gospel79.tistory.com

어느 목사님의 화려했던 과거 (실화)

 

어느 목사님의 화려했던 과거 (실화)

복싱 역사상 가장 펀치가 센 선수는 누구일까요? 복싱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다양한 선수들의 이름을 들어볼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마이크 타이슨을 떠올리실 것 같습니다. 타이

gospel79.tistory.com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1. 허무했던 성공 신화 저는 과거에 예수님을 전혀 몰랐었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불교 믿는 집안에서 태어나서, 중3때 미국에 이민을 갔습니다. 미국에 이민 가서,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명문

gospel79.tistory.com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는 1986년부터 13기 공채 KBS 아나운서로 방송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열전 달리는 일요일', '전국일주', '생방송 행복찾기' 등의 프로를 진행했고, 현재는 CTS기독교TV '내가 매일 기

gospel79.tistory.com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ebook (클릭)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gospel79.netlify.app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