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분비

비만과 제2형 당뇨병의 연관성, 그리고 인슐린 저항성의 역할

by drlee79 2024. 4. 2.
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만과 제2형 당뇨병의 연관성, 그리고 인슐린 저항성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질병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전 세계 성인 인구의 39%가 과체중이었고, 13%가 비만이었습니다.[1] 비만은 단순히 체중 증가의 문제가 아니라,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야기하는데요. 특히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litus)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비만한 사람들은 인슐린에 대한 반응성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를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합니다.[2]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면, 췌장은 더 많은 인슐린을 분비하게 되고, 결국에는 인슐린 분비 능력이 떨어져 제2형 당뇨병이 발생하게 됩니다.

 

실제로 비만한 사람들은 정상 체중인 사람들에 비해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훨씬 높습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자료에 따르면, 체질량지수(BMI) 30 이상인 비만한 사람들은 정상 체중인 사람들에 비해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무려 7배나 높았습니다.[3] 또한 BMI가 1 증가할 때마다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12%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4]

 

그렇다면 비만이 어떻게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는 걸까요? 비만 상태에서는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물질들이 증가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s), 종양괴사인자 알파(TNF-α), 인터루킨-6(IL-6) 등이 있는데요.[5] 이런 물질들은 인슐린 신호 전달을 방해함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합니다.

 

또한 비만 상태에서는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고, 지방세포 주변으로 대식세포(macrophage)가 침윤하게 됩니다.[6]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들 역시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함으로써 제2형 당뇨병의 발생에 기여합니다. 실제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80-90%가 비만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7] 따라서 제2형 당뇨병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비만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비만 관리를 위해서는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이 기본이 됩니다. 식이요법으로는 고지방, 고당 식품 섭취를 줄이고, 채소와 과일, 통곡물, 저지방 단백질 등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당뇨병학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들에게 하루 총 열량의 45-65%를 탄수화물로, 20-35%를 지방으로, 15-20%를 단백질로 섭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8]

 

운동요법으로는 일주일에 최소 150분 이상의 중등도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9] 걷기, 조깅, 수영, 자전거 타기 등이 좋은 유산소 운동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근력 운동을 병행하는 것도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약물 치료로는 메트포르민(metformin)이 제2형 당뇨병 치료의 1차 약제로 사용됩니다.[10] 메트포르민은 간에서의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고, 말초 조직에서의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메트포르민으로 혈당 조절이 어려운 경우에는 설폰요소제(sulfonylureas), 티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s), DPP-4 억제제, GLP-1 수용체 작용제 등의 약물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심한 비만이 동반된 경우에는 비만대사수술(bariatric surgery)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비만대사수술 후에는 체중 감소와 함께 인슐린 감수성이 크게 개선되고, 제2형 당뇨병이 관해되는 경우도 많습니다.[11] 대표적인 비만대사수술으로는 루와이 위우회술(Roux-en-Y gastric bypass), 조절형 위밴드술(adjustable gastric banding), 소매절제술(sleeve gastrectomy) 등이 있습니다.

 

참고문헌: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Obesity and overweight.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obesity-and-overweight
  2. Reaven GM. (1988). Banting lecture 1988. Role of insulin resistance in human disease. Diabetes, 37(12), 1595-1607.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1). Adult Obesity Facts. https://www.cdc.gov/obesity/data/adult.html
  4. Ganz, M. L., et al. (2014). The association of body mass index with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 case–control study nested in an electronic health records system in the United States. Diabetology & Metabolic Syndrome, 6(1), 1-8.
  5. Wellen, K. E., & Hotamisligil, G. S. (2005). Inflammation, stress, and diabetes.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15(5), 1111-1119.
  6. Xu, H., et al. (2003). Chronic inflammation in fat plays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obesity-related insulin resistance.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12(12), 1821-1830.
  7. Eckel, R. H., et al. (2011). Obesity and type 2 diabetes: what can be unified and what needs to be individualized?.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96(6), 1654-1663.
  8.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21). 5. Facilitating behavior change and well-being to improve health outcomes: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21. Diabetes Care, 44(Supplement 1), S53-S72.
  9. Colberg, S. R., et al. (2016). Physical activity/exercise and diabetes: a position statement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Care, 39(11), 2065-2079.
  10.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21). 9. Pharmacologic approaches to glycemic treatment: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21. Diabetes Care, 44(Supplement 1), S111-S124.
  11. Mingrone, G., et al. (2021). Metabolic surgery versus conventional medical therap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10-year follow-up of an open-label, single-centr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 397(10271), 293-304.
  12. Fasshauer, M., & Blüher, M. (2015). Adipokines in health and disease.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36(7), 461-470.
  13. Tchernof, A., & Després, J. P. (2013). Pathophysiology of human visceral obesity: an update. Physiological Reviews, 93(1), 359-404.
  14. Preis, S. R., et al. (2010). Abdominal subcutaneous and visceral adipose tissue and insulin resistance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Obesity, 18(11), 2191-2198.
  15. Liu, J., et al. (2010). Impact of abdominal visceral and subcutaneous adipose tissue on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the Jackson Heart Study.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95(12), 5419-5426.
  16. Ali, O. (2013). Genetics of type 2 diabetes. World Journal of Diabetes, 4(4), 114-123.
  17. Frayling, T. M., et al. (2007). A common variant in the FTO gene is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and predisposes to childhood and adult obesity. Science, 316(5826), 889-894.
  18. Lear, S. A., et al. (2007). Visceral adipose tissue accumulation differs according to ethnic background: results of the Multicultural Community Health Assessment Trial (M-CHAT).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86(2), 353-359.
  19.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8). 2018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Obesity in Korea.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27(1), 1-45.
  20. Simmonds, M., et al. (2016). Predicting adult obesity from childhood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besity Reviews, 17(2), 95-107.
  21. Hiersch, L., & Yogev, Y. (2021). Impact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on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y & Obstetrics, 152(3), 369-377.

 

 

한 고대 문서 이야기

 

한 고대 문서 이야기

여기 한 고대 문서가 있습니다. 이 문서는 B.C. 1,500년 부터 A.D 100년까지 약 1,600 여 년 동안 기록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저자는 약 40 명입니다. 이 문서의 고대 사본은 25,000 개가 넘으나, 사본간 오

gospel79.tistory.com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너무나 위험한 도박 여러분이 식당에서 물을 마시려고 하는데, 어떤 사람이 와서 걱정스러운 목소리로 선생님, 그 물에는 치명적인 독약이 섞여 있으니 절대로 마시지 마십시오! 라고 얘기한다

gospel79.tistory.com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지금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은 소위 '회의론자'일 것입니다. 하나님이 온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고, 예수님을 보내시어 십자가의 대속 사역과 부활을 통해 인간의 죄 문제를 해결하고 '구원의

gospel79.tistory.com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 '하나님은 존재하며, 회개하고 예수님을 믿어야 천국에 간다'는 말이 진실인지 거짓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는, 바로 '신이 존재하는가,

gospel79.tistory.com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연역적 추론에 의한 증명 신이 존재하는지를 '현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은 연역적 추론입니다. 연역적 추론은, 자명하게 '참'이라고 인정되는 전제, 즉, '공리'에서 출발을 해서,

gospel79.tistory.com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귀납적 논증에 의한 증명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두 번째 방법은, 가설 설정에 따른 귀납적 논증입니다. 귀납법이란,여러가지 정보와 증거를 수집하여 그것의 공통적인 속성을 발견해서 추론하

gospel79.tistory.com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현실적인 신의 증거 지금까지는 다소 추상적이고 딱딱한 방법으로 신의 존재를 지지하는 증거를 살펴보았습니다. 지금부터는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신의 증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앞

gospel79.tistory.com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성경에는 수많은 기적과 초자연적인 일들이 기술되어 있다. 모세는 지팡이 하나로 홍해를 갈랐고, 마리아라는 처녀는 혼자 임신해서 예수님을 낳

gospel79.tistory.com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본격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일단 '성경이 대체 어떤 책인지에 대한 여러분이 미처 알지 못하는 객관적인 몇가지 사실을 알아보겠습니다. 성경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 1. 성경은 B.C. 1500년부터 A.D

gospel79.tistory.com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고고학적 신뢰성 성경은 정말로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기록된 '역사적 사실'인가, 아니면 단순히 오래 전에 사람의 생각으로 꾸며 낸 고대 종교 경전인가? 어떤 근거로 성경이라는 고대

gospel79.tistory.com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기타 문헌에 의한 증거 성경에 기록된 사실을 증거하는, 다른 사료가 존재하는가? 기타 사료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 성경의 내용과 부합하는가? 성경은 인위적으로 조작되거나 역사적 사실을

gospel79.tistory.com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고고학적 증거 성경에 나오는 사건, 지명, 유적에 관련된 실제적인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고고학적으로 밝혀진 역사적 사실들은 성경의 내용을 지지하는가? 지금까지 성경은 한 인물에 대해

gospel79.tistory.com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내용에 자체적인 모순이나 오류는 없는가? 성경에 기록된 내용이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는가? 성경에 기록된 수많은 예언이 그대로 성취되었는가? 현재 남아 있는 예언과 현재의 상황은

gospel79.tistory.com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부터는 여러분과 제가 살고 있는 현세대에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예언, 그리고 앞으로 일어날 사건에 대한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겠습니다. 현 세대에 가장 확실하게 성취된 예언은

gospel79.tistory.com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까지는 현재까지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성경에서는 다가올 앞날에 대해서는 어떻게 예언하고 있을까요?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성

gospel79.tistory.com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지금까지 성경의 역사성과 진실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성경은 그냥 신비한 이야기가 난무하는 수많은 고대 종교 경전 중의 하나'라는 막연한 생각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 분명히 깨달으셨

gospel79.tistory.com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현대 과학에서는 생명의 기원에 대해, 원시 대기를 재료로 전기적인 자극이 가해져 우연히 생명체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이 형성되었고, 이들이 조합되어 원시적인 생명체가 출현하고, 이들이

gospel79.tistory.com

6. 체험적인 증거들

 

6. 체험적인 증거들

지금까지는 왜 성경과 하나님이 사실인지를 지지하는 객관적인 증거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런 증거들은 주로 역사적, 과학적 증거들로 강력한 객관성을 지니고 있지만, '내'가 직접 신의 존재

gospel79.tistory.com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하나님은 공의롭고, 사랑이 넘치는 분이라고 주장하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어떻게 사랑의 하나님이 수많은 사람들을 지옥에서 고문할 수 있는가? 사람이 지옥에 가는 이유는 사람의 '죄' 때문

gospel79.tistory.com

8. 결정하셨습니까?

 

8. 결정하셨습니까?

지금까지 오랫동안 왜 여러분이 막연하게 허황되게 보이는 성경과 복음이 거짓이 아닌 확실한 근거가 있는 '진실'인지에 해 살펴보았습니다. 여기까지 보신 분 중에는 정말 성경이 믿을만하다

gospel79.tistory.com

9. 구원의 길

 

9. 구원의 길

여러분이 이제 성경과 복음이 단순히 사람이 꾸며낸 종교적 판타지가 아닌, 분명한 진실임을 아셨다면, 이제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일만 남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gospel79.tistory.com

전직 깡패 박영문씨의 실화

 

전직 깡패 박영문씨의 실화

박영문씨는 젊은 시절 나쁜 친구들과 어울려 소위 말하는 막장 인생을 살던 깡패였습니다. 가정 불화로 아내가 떠나게 되자 복수심에 불타 일가족을 몰살시키려는 무서운 계획을 세우던 중 놀

gospel79.tistory.com

필립 만토파가 직접 겪은 지옥의 참상

 

필립 만토파가 직접 겪은 지옥의 참상

필립 만토파는 인도네시아의 목사님입니다. 어렸을 때 심각한 뇌 장애와 지체 이상으로 고생했으나 어머니의 간절한 기도로 기적적으로 치유받았습니다. 하지만, 그는 건강해진 몸으로 폭력배

gospel79.tistory.com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카라멜로 브레니스의 간증 1982년에, 나는 사고로 죽었었다. 죽음이 나를 엄습했을때, 모든 것이 깜깜했다. 나는 어두운 터널을 홀로 걷고있었고, 어떤 종류의 존재가 나를 데려가고 있었다. 춥고

gospel79.tistory.com

어느 목사님의 화려했던 과거 (실화)

 

어느 목사님의 화려했던 과거 (실화)

복싱 역사상 가장 펀치가 센 선수는 누구일까요? 복싱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다양한 선수들의 이름을 들어볼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마이크 타이슨을 떠올리실 것 같습니다. 타이

gospel79.tistory.com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1. 허무했던 성공 신화 저는 과거에 예수님을 전혀 몰랐었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불교 믿는 집안에서 태어나서, 중3때 미국에 이민을 갔습니다. 미국에 이민 가서,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명문

gospel79.tistory.com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는 1986년부터 13기 공채 KBS 아나운서로 방송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열전 달리는 일요일', '전국일주', '생방송 행복찾기' 등의 프로를 진행했고, 현재는 CTS기독교TV '내가 매일 기

gospel79.tistory.com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ebook (클릭)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gospel79.netlify.app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