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혈액 종양

재생불량성 빈혈

by drlee79 2024. 3. 30.
728x90
반응형

 

 

재생불량성 빈혈은 골수에서 정상적인 조혈모세포의 감소로 인해 빈혈, 감염,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이는 조혈모세포의 파괴 또는 손상으로 인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생성이 현저히 감소하여 발생하는데요.[1] 골수는 우리 몸의 주요 조혈기관으로, 다양한 혈구세포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상적으로는 조혈모세포가 적절히 증식하고 분화하여 성숙한 혈구세포를 만들어내지만, 재생불량성 빈혈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습니다.[2]

 

재생불량성 빈혈의 연간 발생률은 인구 백만명당 2-5명 정도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는 상대적으로 희귀한 질환에 속하지만, 발생하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남녀 발생비는 비슷하며, 특정 인종이나 지역에서 호발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15-25세와 65세 이상의 연령에서 발생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3] 이는 청소년기와 노년기에 면역학적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재생불량성 빈혈은 후천적 원인과 선천적 원인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후천적 원인으로는 약물, 방사선, 화학물질, 감염 등이 대표적입니다. 클로람페니콜, 카르바마제핀, 금 등의 약물이나 벤젠, 살충제와 같은 화학물질, 방사선 조사 등에 노출되면 조혈모세포가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4] 바이러스 감염, 특히 Epstein-Barr virus(EBV),

Cytomegalovirus(CMV), Parvovirus B19 등도 재생불량성 빈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5] 선천적 원인으로는 Fanconi 빈혈, Dyskeratosis congenita, Shwachman-Diamond 증후군 등의 유전질환이 있는데요, 이들은 각각 고유의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조혈모세포의 결함과 함께 다양한 선천기형을 동반합니다.[6]

 

그렇다면 재생불량성 빈혈은 어떤 증상을 나타낼까요? 가장 흔한 증상은 빈혈로 인한 피로, 어지러움, 숨참, 심계항진 등입니다. 헤모글로빈 수치가 낮아지면서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이러한 증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백혈구, 특히 호중구의 감소로 인해 감염에 취약해지는데요, 이로 인해 잦은 감기, 인후통, 구내염, 폐렴 등의 감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7] 패혈증과 같은 중증 감염으로 진행하기도 합니다. 혈소판 감소로 인한 출혈 경향도 주요 증상 중 하나입니다. 피부나 점막의 자반, 잇몸출혈, 코피, 혈뇨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위장관계나 두개내 출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8]

 

재생불량성 빈혈의 병태생리는 매우 복잡하고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는 않았습니다.

조혈모세포의 감소와 조혈미세환경의 이상이 주된 기전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이는 면역학적, 유전학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생각됩니다.[9]

 

우선 면역학적 기전을 살펴보면, T세포와 NK세포의 과도한 활성화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활성화된 T세포, 특히 CD8+ 세포독성 T세포는 과량의 Interferon-gamma(IFN-γ)와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α)를 분비하여 조혈모세포에 세포독성을 나타냅니다.[10] 또한 Fas-Fas ligand 경로를 통해 조혈모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직접 유도하기도 합니다.[11] NK세포 역시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Granzyme, Perforin 등의 세포독성 물질을 분비함으로써 조혈모세포를 공격합니다.[12] 이러한 면역세포들의 공격으로 인해 조혈모세포가 고갈되고, 골수의 세포충실도가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유전학적 요인도 재생불량성 빈혈의 발생에 기여합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 말단에 위치한 반복서열로, 세포분열시 점차 짧아지다가 일정 길이 이하로 감소하면 세포노화나 세포자살이 유도됩니다.[13] 선천성 질환인 Dyskeratosis congenita나 후천적 원인에 의한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에서는 조혈모세포의 텔로미어 길이가 현저히 짧아져 있습니다.[14] 조혈모세포 고유의 유전자 변이 역시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요, TERC, TERT (텔로미어 유지 관련), SBDS (리보솜 생성 관련) 등의 변이가 동정된 바 있습니다.[15]

 

이 외에도 조혈모세포와 골수 기질세포 사이의 상호작용 이상, 사이토카인 불균형, 산화스트레스 증가 등 다양한 병인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16] [17] 아직 재생불량성 빈혈의 병태생리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아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재생불량성 빈혈은 어떻게 진단할 수 있을까요?

 

가장 중요한 검사는 말초혈액검사와 골수검사입니다. 완전혈구계산(Complete blood count, CBC)을 통해 범혈구감소증 여부를 확인하고, 망상적혈구, 백혈구 분획 등을 평가합니다. 범혈구감소증은 재생불량성 빈혈의 가장 특징적인 소견으로, 헤모글로빈 10g/dL 미만, 호중구 1,500/μL 미만, 혈소판 100,000/μL 미만인 경우를 말합니다.[18] 망상적혈구 수치는 빈혈의 중증도를 반영하는데, 재생불량성 빈혈에서는 대개 0.5% 미만으로 감소해 있습니다.[19]

 

골수검사는 재생불량성 빈혈의 확진에 필수적입니다. 골수흡인 및 생검을 통해 세포충실도를 평가하고, 세포형태를 관찰합니다. 세포충실도가 25% 미만으로 감소한 저형성 골수가 재생불량성 빈혈의 진단 기준이 됩니다.[20] 세포형태는 대개 정상이나, 거대핵세포나 적혈모구계 세포의 이형성이 관찰되기도 합니다.[21] 골수의 섬유화나 염증세포 침윤, 이상세포 유무 등도 확인합니다.

 

그 외에도 말초혈액 도말검사, 염색체검사, 유전자검사 등이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말초혈액 도말검사상 대적혈구증이나 적혈구부동증 등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22] 염색체검사나 유전자검사를 통해 선천성 빈혈의 감별이 가능한데요, Fanconi 빈혈에서는 염색체 취약성 검사, Dyskeratosis congenita에서는 DKC1, TERC, TERT 등의 유전자 변이 검사가 진단에 활용됩니다.[23]

 

그 외에 감염, 악성종양, 자가면역질환 등을 배제하기 위한 혈청학적 검사, 영상검사 등도 시행합니다. Epstein-Barr virus, Cytomegalovirus, Parvovirus B19, Hepatitis virus 등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24] 골수종, 림프종, 백혈병 등의 혈액종양을 감별합니다. 간접 Coombs 검사, 항핵항체 검사 등을 통해 자가면역질환의 가능성도 평가합니다.[25]

 

이렇게 다양한 검사를 종합하여 재생불량성 빈혈을 진단하게 되는데요, 반드시 다른 혈액질환들과의 감별진단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골수형성이상증후군(MDS), 급성백혈병, 골수섬유증, 거대적아구성 빈혈 등이 유사한 소견을 보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26]

 

재생불량성 빈혈의 치료에는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요?

 

크게 면역억제요법과 조혈모세포이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면역억제요법은 재생불량성 빈혈의 일차 치료로서, 면역세포의 조혈모세포 공격을 억제하는 것이 주된 기전입니다.[27]

 

Anti-thymocyte globulin(ATG)과 Cyclosporine의 병합요법이 표준치료로 사용되고 있는데요, 약 60-70%의 환자에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8] ATG는 림프구를 고갈시키는 작용을 하며, Cyclosporine은 T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합니다. 보통 ATG 2.5-3.5 mg/kg/day를 5일간 정주하고, 이후 Cyclosporine 5-6 mg/kg/day를 경구투여하게 됩니다.[29]

 

중증 재생불량성 빈혈에서는 ATG/Cyclosporine 병합요법의 효과가 다소 제한적인데요, 최근에는 Eltrombopag 등의 Thrombopoietin 수용체 작용제를 추가하는 삼중요법이 시도되고 있습니다.[30] Eltrombopag은 혈소판 생성을 촉진할 뿐 아니라, 조혈모세포의 증식과 분화도 직접 자극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31] 삼중요법 시 60-80%까지 반응률이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32] 향후 표준치료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면역억제요법에 반응이 없거나, 심한 골수형성저하를 보이는 경우에는 조혈모세포이식을 고려하게 됩니다. 조혈모세포이식은 건강한 공여자의 조혈모세포로 환자의 비정상적인 골수를 대체함으로써 질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가장 이상적인 공여자는 HLA가 일치하는 형제 또는 자매인데요, 이 경우 이식 성공률이 80-90%에 이릅니다.[33] 비혈연 공여자로부터의 이식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나, 이식편대숙주병(GVHD)과 이식거부반응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34]

 

이식 전처치로는 Cyclophosphamide(CY), ATG, Fludarabine 등이 사용되는데요, 이는 환자의 면역체계를 억제하여 이식편 생착을 도모하기 위함입니다.[35] 전처치 강도에 따라 골수파괴적 요법(Myeloablative conditioning)과 감소강도 요법(Reduced-intensity conditioning)으로 구분합니다. 전자는 주로 젊고 전신상태가 양호한 환자에서, 후자는 고령이거나 동반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선택하게 됩니다.[36]

 

이식 후에는 GVHD, 감염, 이식편 거부 등의 합병증에 주의해야 합니다. 급성 GVHD는 이식 후 100일 이내에 발생하며, 피부발진, 설사, 간기능 이상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37] 만성 GVHD는 이식 후 100일 이후에 발생하는데, 피부경화, 구강건조, 폐섬유화 등 다양한 장기를 침범합니다.[38] 감염은 이식 후 가장 흔한 사망원인으로,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39] 특히 시토메갈로바이러스(CMV), 아스페르길루스 등의 기회감염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한편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에서는 수혈, 감염 예방, 출혈 조절 등의 보존적 치료도 병행해야 합니다. 적혈구 수혈은 헤모글로빈 8 g/dL 미만일 때, 혈소판 수혈은 1만/μL 미만일 때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40] 수혈 전 백혈구여과제거 혈액제제를 사용하여 동종면역의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41] G-CSF나 Erythropoietin과 같은 조혈촉진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습니다.[42]

 

감염 예방을 위해 환자의 절대호중구수(ANC)가 500/μL 미만인 경우 역격리와 함께 경구 항생제를 투여합니다.[43] 침습적 진균감염이 의심되면 Voriconazole이나 Echinocandin 계열의 항진균제를 사용합니다. 출혈 위험이 높은 경우 Tranexamic acid 등의 항섬유용해제를 투여하거나,[44] 국소지혈제를 적용합니다. 철분과다로 인한 이차성 헤모시데린침착을 예방하기 위해 철킬레이트제인 Deferasirox를 투여하기도 합니다.[45]

 

재생불량성 빈혈은 어떤 예후를 보일까요?

 

치료를 받지 않은 중증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의 5년 생존율은 불과 20% 정도로 매우 불량합니다.[46] 그러나 적절한 치료로 장기 생존율을 60-80%까지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47]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나이, 질병의 중증도, 치료반응 여부 등이 있습니다. 젊은 환자일수록, 진단 당시 호중구 수가 높을수록 예후가 좋습니다.[48] 골수세포충실도가 25% 이상이거나,[49] 망상적혈구 수치가 1% 이상인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양호한 경과를 보입니다.[50]

 

면역억제요법에 반응이 있는 경우 약 80%에서 장기 생존이 가능한데요,[51] 재발이나 클론성 질환으로의 진행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면역억제요법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는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 때 공여자의 유무와 이식편대숙주병 발생 여부 등이 예후를 좌우합니다.

 

HLA가 일치하는 형제간 이식의 5년 생존율은 약 90%에 이르지만, 비혈연간 이식의 경우 50-60% 정도로 낮아집니다.[52] 이식 후에는 급성 및 만성 GVHD, 감염, 이차성 종양 등의 후기 합병증이 문제가 됩니다. 특히 이식편대숙주병은 이식 후 사망원인의 15-2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데요,[53] 적절한 면역억제와 함께 예방 및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재생불량성 빈혈은 희귀질환이지만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혈액질환입니다. 따라서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합병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면역억제요법의 발전, 이식 성적의 향상 등으로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의 예후가 크게 개선되었지만, 아직 극복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습니다. 앞으로 병인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와 함께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궁극적으로는 조혈모세포의 재생을 촉진하고, 면역학적 공격을 차단할 수 있는 맞춤형 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학계와 의료계의 공동 노력이 요구되는 바입니다.

References

  1. Guinan EC.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plastic anemia. Hematology Am Soc Hematol Educ Program. 2011;2011:76-81.
  2. Young NS, Calado RT, Scheinberg P. Current concepts in the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aplastic anemia. Blood. 2006;108(8):2509-2519.
  3. Montané E, Ibáñez L, Vidal X, et al. Epidemiology of aplastic anemia: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Haematologica. 2008;93(4):518-523.
  4. Gordon-Smith EC, Issaragrisil S. Epidemiology of aplastic anaemia. Baillieres Clin Haematol. 1992;5(2):475-491.
  5. Rauff B, Idrees M, Shah SA, et al. Hepatitis associated aplastic anemia: a review. Virol J. 2011;8:87.
  6. Shimamura A, Alter BP. Pathophysiology and management of inherited bone marrow failure syndromes. Blood Rev. 2010;24(3):101-122.
  7. Dolberg OJ, Levy Y. Idiopathic aplastic anemia: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Autoimmun Rev. 2014;13(4-5):569-573.
  8. Killick SB, Bown N, Cavenagh J,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dult aplastic anaemia. Br J Haematol. 2016;172(2):187-207.
  9. Young NS. Current concepts in the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aplastic anemia. Hematology Am Soc Hematol Educ Program. 2013;2013:76-81.
  10. Zoumbos NC, Gascon P, Djeu JY, Young NS. Interferon is a mediator of hematopoietic suppression in aplastic anemia in vitro and possibly in vivo. Proc Natl Acad Sci U S A. 1985;82(1):188-192.
  11. Maciejewski JP, Selleri C, Sato T, Anderson S, Young NS. Increased expression of Fas antigen on bone marrow CD34+ cells of patients with aplastic anaemia. Br J Haematol. 1995;91(1):245-252.
  12. Kagan WA, Ascensão JA, Pahwa RN, et al. Aplastic anemia: presence in human bone marrow of cells that suppress myelopoiesis. Proc Natl Acad Sci U S A. 1976;73(8):2890-2894.
  13. Calado RT, Young NS. Telomere diseases. N Engl J Med. 2009;361(24):2353-2365.
  14. Brümmendorf TH, Maciejewski JP, Mak J, Young NS, Lansdorp PM. Telomere length in leukocyte subpopulations of patients with aplastic anemia. Blood. 2001;97(4):895-900.
  15. Yamaguchi H, Calado RT, Ly H, et al. Mutations in TERT, the gene for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in aplastic anemia. N Engl J Med. 2005;352(14):1413-1424.
  16. Schrezenmeier H, Jenal M, Herrmann F, Heimpel H, Raghavachar A. Quantitative analysis of cobblestone area-forming cells in bone marrow of patients with aplastic anemia by limiting dilution assay. Blood. 1996;88(12):4474-4480.
  17. Zeng W, Chen G, Kajigaya S, et al. Gene expression profiling in CD34 cell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aplastic anemia patients and healthy volunteers. Blood. 2004;103(1):325-332.
  18. Camitta BM, Thomas ED, Nathan DG, et al. Severe aplastic anemia: a prospective study of the effect of early marrow transplantation on acute mortality. Blood. 1976;48(1):63-70.
  19. Bacigalupo A, Hows J, Gluckman E, et al.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versus immunosuppression for the treatment of severe aplastic anaemia (SAA): a report of the EBMT SAA working party. Br J Haematol. 1988;70(2):177-182.
  20. Bacigalupo A. How I treat acquired aplastic anemia. Blood. 2017;129(11):1428-1436.
  21. Marsh JC, Ball SE, Cavenagh J,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plastic anaemia. Br J Haematol. 2009;147(1):43-70.
  22. Kwon JY, Lee Y, Shin JC, Lee JW, Rha JG, Kim SP. Supportive management of pregnancy-associated aplastic anemia. Int J Gynaecol Obstet. 2006;95(2):115-120.
  23. Alter BP. Inherited bone marrow failure syndromes: considerations pre- and posttransplant. Blood. 2017;130(21):2257-2264.
  24. Kurtzman G, Young N. Viruses and bone marrow failure. Blood Rev. 1989;3(2):71-77.
  25. Nakao S. Immune pathophysiology of aplastic anemia. Int J Hematol. 2021;113(1):11-18.
  26. Peslak SA, Olson T, Babushok DV. Diagnosis and Treatment of Aplastic Anemia. Curr Treat Options Oncol. 2017;18(12):70.
  27. Young NS. Aplastic Anemia. N Engl J Med. 2018;379(17):1643-1656.
  28. Scheinberg P, Young NS. How I treat acquired aplastic anemia. Blood. 2012;120(6):1185-1196.
  29. Scheinberg P, Nunez O, Weinstein B, et al. Horse versus rabbit antithymocyte globulin in acquired aplastic anemia. N Engl J Med. 2011;365(5):430-438.
  30. Townsley DM, Scheinberg P, Winkler T, et al. Eltrombopag Added to Standard Immunosuppression for Aplastic Anemia. N Engl J Med. 2017;376(16):1540-1550.
  31. Desmond R, Townsley DM, Dumitriu B, et al. Eltrombopag restores trilineage hematopoiesis in refractory severe aplastic anemia that can be sustained on discontinuation of drug. Blood. 2014;123(12):1818-1825.
  32. Winkler T, Fan X, Cooper J, et al. Treatment optimization and genomic outcomes in refractory severe aplastic anemia treated with eltrombopag. Blood. 2019;133(24):2575-2585.
  33. Bacigalupo A, Brand R, Oneto R, et al. Treatment of acquired severe aplastic anemia: bone marrow transplantation compared with immunosuppressive therapy--The European Group for Blood and Marrow Transplantation experience. Semin Hematol. 2000;37(1):69-80.
  34. Giammarco S, Peffault de Latour R, Sica S, et al. European Group for Blood and Marrow Transplantation Severe Aplastic Anemia Working Party. Transplant outcome for patients with acquired aplastic anemia over the age of 40: has the outcome improved?. Blood. 2018;131(17):1989-1992.
  35. Bacigalupo A, Socié G, Schrezenmeier H, et al. Bone marrow versus peripheral blood as the stem cell source for sibling transplants in acquired aplastic anemia: survival advantage for bone marrow in all age groups. Haematologica. 2012;97(8):1142-1148.

 

한 고대 문서 이야기

 

한 고대 문서 이야기

여기 한 고대 문서가 있습니다. 이 문서는 B.C. 1,500년 부터 A.D 100년까지 약 1,600 여 년 동안 기록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저자는 약 40 명입니다. 이 문서의 고대 사본은 25,000 개가 넘으나, 사본간 오

gospel79.tistory.com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너무나 위험한 도박 여러분이 식당에서 물을 마시려고 하는데, 어떤 사람이 와서 걱정스러운 목소리로 선생님, 그 물에는 치명적인 독약이 섞여 있으니 절대로 마시지 마십시오! 라고 얘기한다

gospel79.tistory.com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지금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은 소위 '회의론자'일 것입니다. 하나님이 온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고, 예수님을 보내시어 십자가의 대속 사역과 부활을 통해 인간의 죄 문제를 해결하고 '구원의

gospel79.tistory.com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 '하나님은 존재하며, 회개하고 예수님을 믿어야 천국에 간다'는 말이 진실인지 거짓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는, 바로 '신이 존재하는가,

gospel79.tistory.com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연역적 추론에 의한 증명 신이 존재하는지를 '현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은 연역적 추론입니다. 연역적 추론은, 자명하게 '참'이라고 인정되는 전제, 즉, '공리'에서 출발을 해서,

gospel79.tistory.com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귀납적 논증에 의한 증명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두 번째 방법은, 가설 설정에 따른 귀납적 논증입니다. 귀납법이란,여러가지 정보와 증거를 수집하여 그것의 공통적인 속성을 발견해서 추론하

gospel79.tistory.com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현실적인 신의 증거 지금까지는 다소 추상적이고 딱딱한 방법으로 신의 존재를 지지하는 증거를 살펴보았습니다. 지금부터는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신의 증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앞

gospel79.tistory.com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성경에는 수많은 기적과 초자연적인 일들이 기술되어 있다. 모세는 지팡이 하나로 홍해를 갈랐고, 마리아라는 처녀는 혼자 임신해서 예수님을 낳

gospel79.tistory.com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본격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일단 '성경이 대체 어떤 책인지에 대한 여러분이 미처 알지 못하는 객관적인 몇가지 사실을 알아보겠습니다. 성경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 1. 성경은 B.C. 1500년부터 A.D

gospel79.tistory.com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고고학적 신뢰성 성경은 정말로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기록된 '역사적 사실'인가, 아니면 단순히 오래 전에 사람의 생각으로 꾸며 낸 고대 종교 경전인가? 어떤 근거로 성경이라는 고대

gospel79.tistory.com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기타 문헌에 의한 증거 성경에 기록된 사실을 증거하는, 다른 사료가 존재하는가? 기타 사료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 성경의 내용과 부합하는가? 성경은 인위적으로 조작되거나 역사적 사실을

gospel79.tistory.com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고고학적 증거 성경에 나오는 사건, 지명, 유적에 관련된 실제적인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고고학적으로 밝혀진 역사적 사실들은 성경의 내용을 지지하는가? 지금까지 성경은 한 인물에 대해

gospel79.tistory.com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내용에 자체적인 모순이나 오류는 없는가? 성경에 기록된 내용이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는가? 성경에 기록된 수많은 예언이 그대로 성취되었는가? 현재 남아 있는 예언과 현재의 상황은

gospel79.tistory.com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부터는 여러분과 제가 살고 있는 현세대에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예언, 그리고 앞으로 일어날 사건에 대한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겠습니다. 현 세대에 가장 확실하게 성취된 예언은

gospel79.tistory.com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까지는 현재까지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성경에서는 다가올 앞날에 대해서는 어떻게 예언하고 있을까요?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성

gospel79.tistory.com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지금까지 성경의 역사성과 진실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성경은 그냥 신비한 이야기가 난무하는 수많은 고대 종교 경전 중의 하나'라는 막연한 생각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 분명히 깨달으셨

gospel79.tistory.com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현대 과학에서는 생명의 기원에 대해, 원시 대기를 재료로 전기적인 자극이 가해져 우연히 생명체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이 형성되었고, 이들이 조합되어 원시적인 생명체가 출현하고, 이들이

gospel79.tistory.com

6. 체험적인 증거들

 

6. 체험적인 증거들

지금까지는 왜 성경과 하나님이 사실인지를 지지하는 객관적인 증거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런 증거들은 주로 역사적, 과학적 증거들로 강력한 객관성을 지니고 있지만, '내'가 직접 신의 존재

gospel79.tistory.com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하나님은 공의롭고, 사랑이 넘치는 분이라고 주장하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어떻게 사랑의 하나님이 수많은 사람들을 지옥에서 고문할 수 있는가? 사람이 지옥에 가는 이유는 사람의 '죄' 때문

gospel79.tistory.com

8. 결정하셨습니까?

 

8. 결정하셨습니까?

지금까지 오랫동안 왜 여러분이 막연하게 허황되게 보이는 성경과 복음이 거짓이 아닌 확실한 근거가 있는 '진실'인지에 해 살펴보았습니다. 여기까지 보신 분 중에는 정말 성경이 믿을만하다

gospel79.tistory.com

9. 구원의 길

 

9. 구원의 길

여러분이 이제 성경과 복음이 단순히 사람이 꾸며낸 종교적 판타지가 아닌, 분명한 진실임을 아셨다면, 이제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일만 남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gospel79.tistory.com

전직 깡패 박영문씨의 실화

 

전직 깡패 박영문씨의 실화

박영문씨는 젊은 시절 나쁜 친구들과 어울려 소위 말하는 막장 인생을 살던 깡패였습니다. 가정 불화로 아내가 떠나게 되자 복수심에 불타 일가족을 몰살시키려는 무서운 계획을 세우던 중 놀

gospel79.tistory.com

필립 만토파가 직접 겪은 지옥의 참상

 

필립 만토파가 직접 겪은 지옥의 참상

필립 만토파는 인도네시아의 목사님입니다. 어렸을 때 심각한 뇌 장애와 지체 이상으로 고생했으나 어머니의 간절한 기도로 기적적으로 치유받았습니다. 하지만, 그는 건강해진 몸으로 폭력배

gospel79.tistory.com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카라멜로 브레니스의 간증 1982년에, 나는 사고로 죽었었다. 죽음이 나를 엄습했을때, 모든 것이 깜깜했다. 나는 어두운 터널을 홀로 걷고있었고, 어떤 종류의 존재가 나를 데려가고 있었다. 춥고

gospel79.tistory.com

어느 목사님의 화려했던 과거 (실화)

 

어느 목사님의 화려했던 과거 (실화)

복싱 역사상 가장 펀치가 센 선수는 누구일까요? 복싱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다양한 선수들의 이름을 들어볼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마이크 타이슨을 떠올리실 것 같습니다. 타이

gospel79.tistory.com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1. 허무했던 성공 신화 저는 과거에 예수님을 전혀 몰랐었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불교 믿는 집안에서 태어나서, 중3때 미국에 이민을 갔습니다. 미국에 이민 가서,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명문

gospel79.tistory.com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는 1986년부터 13기 공채 KBS 아나운서로 방송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열전 달리는 일요일', '전국일주', '생방송 행복찾기' 등의 프로를 진행했고, 현재는 CTS기독교TV '내가 매일 기

gospel79.tistory.com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ebook (클릭)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gospel79.netlify.app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