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분비

비만과 고혈압, 체중 감량을 통한 혈압 조절

by drlee79 2024. 4. 2.
728x90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만과 고혈압의 연관성, 그리고 체중 감량을 통한 혈압 관리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만은 고혈압의 가장 강력한 위험인자 중 하나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 성인 인구의 13%가 비만이며, 이들 중 절반 이상이 고혈압을 동반하고 있습니다. 국내 역학조사 결과에서도 BMI(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의 비만군에서 고혈압 유병률이 35.5%로, 정상 체중군(18.4%)에 비해 약 1.9배 높게 나타났습니다.

 

BMI와 고혈압 발생 위험 간에는 용량-반응 관계가 성립합니다. 즉, BMI가 높아질수록 고혈압의 위험도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것인데요. 한 메타분석 연구에 따르면, BMI가 1 kg/m2 증가할 때마다 고혈압 발생 위험은 남성에서 8%, 여성에서 1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복부비만은 고혈압의 강력한 예측인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허리둘레가 남성 90cm, 여성 85cm 이상인 복부비만에서는 고혈압 위험이 정상에 비해 약 2.4배 높습니다.

 

그렇다면 비만이 어떤 기전을 통해 고혈압을 유발하는 것일까요?

 

첫째, 비만 상태에서는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고인슐린혈증이 유발됩니다. 인슐린은 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켜 심박출량과 말초혈관 저항을 높이고, 나트륨 재흡수를 촉진함으로써 혈압을 상승시키게 됩니다.

 

둘째, 비만 환자에서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AAS)의 활성도가 증가되어 있습니다.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안지오텐시노겐이 증가하고, 안지오텐신 II의 혈관 수축 작용과 알도스테론의 나트륨 저류 효과로 인해 혈압이 상승하게 됩니다.

 

셋째, 비만은 전신 및 혈관의 만성 염증 상태를 유발합니다.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TNF-α 등)은 혈관 내피 기능을 저하시키고, 혈관 경직도를 높여 결과적으로 혈압 상승을 초래합니다. 아울러 비만 환자에서는 산화 스트레스가 증가하는데, 이 또한 혈관 내피 기능 장애를 일으켜 고혈압 발생에 기여하게 됩니다.

 

이 외에도 교감신경계 항진, 수면 무호흡증, 고요산혈증 등 다양한 기전을 통해 비만이 고혈압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비만은 고혈압의 주요 원인이므로, 비만 환자에서는 적극적인 체중 조절이 혈압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다수의 무작위 대조군 연구에서 생활습관 교정을 통한 체중 감량의 항고혈압 효과가 입증되었는데요.[11]

 

대표적으로 TOHP(Trials of Hypertension Prevention) 연구에서는 과체중/비만 성인 2,382명을 대상으로 18개월간 생활습관 중재를 시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중재군에서 체중이 평균 4.5 kg 감소하였고, 이는 수축기 혈압 3.7 mmHg, 이완기 혈압 2.7 mmHg의 유의한 감소로 이어졌습니다.[12]

 

또 다른 메타분석 연구에서는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병행한 생활습관 중재를 통해 체중을 3.5-12.5 kg 감량하였을 때, 수축기 혈압은 3-11 mmHg, 이완기 혈압은 2.5-7 mmHg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3] 특히 고도비만 환자(BMI ≥ 35 kg/m2)에서 10% 이상의 체중 감량은 수축기 혈압을 10.8 mmHg, 이완기 혈압을 8.3 mmHg 낮추는 효과가 있었습니다.[14]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체중을 감량해야 할까요?

 

우선 식습관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과일, 채소, 통곡물, 저지방 유제품 등이 풍부한 DASH(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식단은 체중 감량과 혈압 강하에 매우 효과적입니다.[15] DASH 식단을 따르면서 하루 열량 섭취량을 500-750 kcal 정도 줄이면 1주일에 0.5-1 kg 정도의 건강한 체중 감소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16]

 

나트륨 섭취를 하루 2,300 mg 이하로 제한하는 것도 혈압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17] 가공식품과 외식을 줄이고, 신선한 식재료를 사용한 저염식을 실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운동은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미국 스포츠의학회(ACSM)에서는 1주일에 최소 150분 이상, 중등도 강도(최대심박수의 64-76%)의 유산소 운동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18] 걷기, 조깅, 수영, 자전거 타기 등 자신이 즐길 수 있는 운동을 선택하여 규칙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산소 운동과 더불어 주 2-3회 정도의 근력 운동을 병행하면 제지방량(lean body mass)을 유지하면서 체지방을 효과적으로 감량할 수 있습니다.[19]

 

단, 고혈압 환자의 경우에는 운동 전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여 본인에게 적합한 운동 방법과 강도를 결정해야 합니다. 특히 수축기 혈압이 180 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110 mmHg 이상인 경우에는 혈압이 조절될 때까지 고강도 운동은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20]

 

생활습관 교정과 더불어 비만 치료제의 사용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비만 치료제 중 GLP-1 수용체 작용제(리라글루타이드, 세마글루타이드 등)는 체중 감량 효과와 함께 심혈관 보호 작용을 가지고 있어 비만 고혈압 환자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습니다.[21][22]

 

GLP-1 수용체 작용제는 포만감을 증가시키고 위 배출 시간을 지연시켜 식욕을 억제하는 한편,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혈당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23] 뿐만 아니라 GLP-1 수용체를 통해 심장과 혈관에 직접 작용하여 혈압을 낮추고 심혈관 기능을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24]

 

실제로 SCALE 연구에서는 비만 성인 3,731명을 대상으로 리라글루타이드 3 mg을 56주간 투여하였을 때, 위약군 대비 체중이 평균 8.4 kg 감소하였고, 수축기 혈압은 4.2 mmHg, 이완기 혈압은 2.6 mmHg 낮아졌습니다.[25] 최근 발표된 STEP 연구에서도 세마글루타이드 2.4 mg 투여군에서 68주 후 평균 14.9%의 현저한 체중 감소와 함께 수축기 혈압이 6.2 mmHg 감소한 바 있습니다.[26]

 

이처럼 비만 고혈압 환자에서는 생활습관 교정과 약물 치료를 병행함으로써 체중 감량과 혈압 조절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겠습니다.

 

지금까지 비만과 고혈압의 관계, 그리고 체중 감량을 통한 혈압 관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요약하자면, 비만은 고혈압의 주요 위험인자이므로 적극적인 체중 관리가 혈압 조절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건강한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비만을 예방하고 체중을 감량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며, 경우에 따라 비만 치료제를 병용하는 것도 도움될 수 있겠습니다.

 

비만과 고혈압은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서 반드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입니다. 그러나 생활습관의 교정을 통해 얼마든지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실천하여 적정 체중과 혈압을 유지함으로써 심혈관 건강을 지켜나가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육체의 건강뿐 아니라 영혼의 건강을 위해서도 깨어 있으시기를 당부 드립니다. 성경은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신명기 6:5)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그분의 말씀에 순종하며 살아갈 때 참된 평안과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

 

특별히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받는 일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일입니다. 요한복음 3장 16절은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고 전합니다.

 

예수님을 구주로 영접하고 말씀 안에 거할 때 우리의 삶은 온전히 변화될 것입니다. 건강할 때나 병들 때나, 기쁠 때나 슬플 때나 변함없이 우리를 사랑하시고 함께 하시는 주님께 모든 것을 맡기시기 바랍니다. 그분만이 우리의 참된 소망이시며 힘이 되십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건강한 삶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되 세상의 것들에 너무 매이지 마시고, 항상 천국의 소망을 품고 살아가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Obesity and overweight.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obesity-and-overweight
  2.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2018). Korea hypertension fact sheet 2018.
  3. Seravalle, G., & Grassi, G. (2017). Obesity and hypertension. Pharmacological research, 122, 1-7.
  4. Jiang, S. Z., Lu, W., Zong, X. F., Ruan, H. Y., & Liu, Y.(2016). Obesity and hypertension. Experimental and therapeutic medicine, 12(4), 2395-2399.
    5. Aronow, W. S. (2017). Association of obesity with hypertension. Annals of translational medicine, 5(17), 350.
    6. DeMarco, V. G., Aroor, A. R., & Sowers, J. R. (2014). The pathophysiology of hypertension in patients with obesity. Nature reviews endocrinology, 10(6), 364-376.
    7. Leggio, M., Lombardi, M., Caldarone, E., Severi, P., D'Emidio, S., Armeni, M., ... & Mazza, A.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hypertension: an updated comprehensive overview on vicious twins. Hypertension Research, 40(12), 947-963.
    8. Landsberg, L., Aronne, L. J., Beilin, L. J., Burke, V., Igel, L. I., Lloyd‐Jones, D., & Sowers, J. (2013). Obesity‐related hypertension: pathogenesis, cardiovascular risk, and treatment: a position paper of the Obesity Society and the American Society of Hypertension. The journal of clinical hypertension, 15(1), 14-33.
    9. Fantin, F., Giani, A., Zoico, E., Rossi, A. P., Mazzali, G., & Zamboni, M. (2019). Weight loss and hypertension in obese subjects. Nutrients, 11(7), 1667.
    10. Chandra, A., Neeland, I. J., Berry, J. D., Ayers, C. R., Rohatgi, A., Das, S. R., ... & de Lemos, J. A. (2014). The relationship of body mass and fat distribution with incident hypertension: observations from the Dallas Heart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64(10), 997-1002.
    11. Aucott, L., Poobalan, A., Smith, W. C. S., Avenell, A., Jung, R., & Broom, J. (2005). Effects of weight loss in overweight/obese individuals and long‐term hypertension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Hypertension, 45(6), 1035-1041.
    12. Stevens, V. J., Obarzanek, E., Cook, N. R., Lee, I. M., Appel, L. J., West, D. S., ... & Cohen, J. (2001). Long-term weight loss and changes in blood pressure: results of the Trials of Hypertension Prevention, phase II.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4(1), 1-11.
    13. Neter, J. E., Stam, B. E., Kok, F. J., Grobbee, D. E., & Geleijnse, J. M. (2003). Influence of weight reduction on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Hypertension, 42(5), 878-884.
    14. Semlitsch, T., Krenn, C., Jeitler, K., Berghold, A., Horvath, K., & Siebenhofer, A. (2021). Long‐term effects of weight‐reducing diets in people with hypertens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
    15. Saneei, P., Salehi-Abargouei, A., Esmaillzadeh, A., & Azadbakht, L. (2014). Influence of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diet on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utrition, Metabolism and Cardiovascular Diseases, 24(12), 1253-1261.
    16. Whelton, P. K., Carey, R. M., Aronow, W. S., Casey, D. E., Collins, K. J., Himmelfarb, C. D., ... & Wright, J. T. (2018). 2017 ACC/AHA/AAPA/ABC/ACPM/AGS/APhA/ASH/ASPC/NMA/PCNA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71(19), e127-e248.
    17. He, F. J., Li, J., & MacGregor, G. A. (2013). Effect of longer-term modest salt reduction on blood pressur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4).
    18. Pescatello, L. S., Buchner, D. M., Jakicic, J. M., Powell, K. E., Kraus, W. E., Bloodgood, B., ... & Piercy, K. L. (2019). Physical activity to prevent and treat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51(6), 1314-1323.
    19. Cornelissen, V. A., & Smart, N. A. (2013). Exercise training for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1), e004473.
    20. Williams, B., Mancia, G., Spiering, W., Agabiti Rosei, E., Azizi, M., Burnier, M., ... & Desormais, I. (2018). 2018 ESC/ESH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The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and the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ESH). European heart journal, 39(33), 3021-3104.
    21. Frías, J. P., Guja, C., Hardy, E., Ahmed, A., Dong, F., Öhman, P., & Jabbour, S. A. (2016). Exenatide once weekly plus dapagliflozin once daily versus exenatide or dapagliflozin alon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adequately controlled with metformin monotherapy (DURATION-8): a 28 week, multicentre, double-blind, phase 3,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 Diabetes & endocrinology, 4(12), 1004-1016.
    22. Htike, Z. Z., Zaccardi, F., Papamargaritis, D., Webb, D. R., Khunti, K., & Davies, M. J. (2017). Efficacy and safety of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in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ixed‐treatment comparison analysis.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19(4), 524-536.
    23. Baggio, L. L., & Drucker, D. J. (2007). Biology of incretins: GLP-1 and GIP. Gastroenterology, 132(6), 2131-2157.
    24. Drucker, D. J. (2016). The cardiovascular biology of glucagon-like peptide-1. Cell metabolism, 24(1), 15-30.
    25. Pi-Sunyer, X., Astrup, A., Fujioka, K., Greenway, F., Halpern, A., Krempf, M., ... & Wilding, J. P. (2015).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3.0 mg of liraglutide in weight management.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3(1), 11-22.
    26. Wilding, J. P., Batterham, R. L., Calanna, S., Davies, M., Van Gaal, L. F., Lingvay, I., ... & STEP 1 Study Group. (2021). Once-weekly semaglutide in adults with overweight or obesit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84(11), 989-1002.

 

 

 

한 고대 문서 이야기

 

한 고대 문서 이야기

여기 한 고대 문서가 있습니다. 이 문서는 B.C. 1,500년 부터 A.D 100년까지 약 1,600 여 년 동안 기록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저자는 약 40 명입니다. 이 문서의 고대 사본은 25,000 개가 넘으나, 사본간 오

gospel79.tistory.com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1.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불편한 진실)

너무나 위험한 도박 여러분이 식당에서 물을 마시려고 하는데, 어떤 사람이 와서 걱정스러운 목소리로 선생님, 그 물에는 치명적인 독약이 섞여 있으니 절대로 마시지 마십시오! 라고 얘기한다

gospel79.tistory.com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2. 당신이 복음을 믿지 못하는 이유

지금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은 소위 '회의론자'일 것입니다. 하나님이 온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고, 예수님을 보내시어 십자가의 대속 사역과 부활을 통해 인간의 죄 문제를 해결하고 '구원의

gospel79.tistory.com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2-1. 신(하나님)은 과연 존재하는가?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는가?

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 '하나님은 존재하며, 회개하고 예수님을 믿어야 천국에 간다'는 말이 진실인지 거짓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는, 바로 '신이 존재하는가,

gospel79.tistory.com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2-2. 신의 증거(연역적 추론)

연역적 추론에 의한 증명 신이 존재하는지를 '현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은 연역적 추론입니다. 연역적 추론은, 자명하게 '참'이라고 인정되는 전제, 즉, '공리'에서 출발을 해서,

gospel79.tistory.com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2-3. 신의 증거(귀납적 증거)

귀납적 논증에 의한 증명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두 번째 방법은, 가설 설정에 따른 귀납적 논증입니다. 귀납법이란,여러가지 정보와 증거를 수집하여 그것의 공통적인 속성을 발견해서 추론하

gospel79.tistory.com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2-4. 신의 증거(현실적인 증거)

현실적인 신의 증거 지금까지는 다소 추상적이고 딱딱한 방법으로 신의 존재를 지지하는 증거를 살펴보았습니다. 지금부터는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신의 증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앞

gospel79.tistory.com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3.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비상식적이고 초자연적인 기적, 과연 가능한가 성경에는 수많은 기적과 초자연적인 일들이 기술되어 있다. 모세는 지팡이 하나로 홍해를 갈랐고, 마리아라는 처녀는 혼자 임신해서 예수님을 낳

gospel79.tistory.com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1.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본격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일단 '성경이 대체 어떤 책인지에 대한 여러분이 미처 알지 못하는 객관적인 몇가지 사실을 알아보겠습니다. 성경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 1. 성경은 B.C. 1500년부터 A.D

gospel79.tistory.com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2.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고고학적 신뢰성 성경은 정말로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기록된 '역사적 사실'인가, 아니면 단순히 오래 전에 사람의 생각으로 꾸며 낸 고대 종교 경전인가? 어떤 근거로 성경이라는 고대

gospel79.tistory.com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3.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기타 문헌에 의한 증거 성경에 기록된 사실을 증거하는, 다른 사료가 존재하는가? 기타 사료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 성경의 내용과 부합하는가? 성경은 인위적으로 조작되거나 역사적 사실을

gospel79.tistory.com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4.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고고학적 증거 성경에 나오는 사건, 지명, 유적에 관련된 실제적인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고고학적으로 밝혀진 역사적 사실들은 성경의 내용을 지지하는가? 지금까지 성경은 한 인물에 대해

gospel79.tistory.com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5.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성경의 내용에 자체적인 모순이나 오류는 없는가? 성경에 기록된 내용이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는가? 성경에 기록된 수많은 예언이 그대로 성취되었는가? 현재 남아 있는 예언과 현재의 상황은

gospel79.tistory.com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6.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부터는 여러분과 제가 살고 있는 현세대에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예언, 그리고 앞으로 일어날 사건에 대한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겠습니다. 현 세대에 가장 확실하게 성취된 예언은

gospel79.tistory.com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4-7. 성경의 본질과 역사성에 대한 의문 (성경의 사실성)

지금까지는 현재까지 성취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성경의 예언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성경에서는 다가올 앞날에 대해서는 어떻게 예언하고 있을까요?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성

gospel79.tistory.com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5-1.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 (빅뱅 이론과 정상 우주론)

지금까지 성경의 역사성과 진실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성경은 그냥 신비한 이야기가 난무하는 수많은 고대 종교 경전 중의 하나'라는 막연한 생각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 분명히 깨달으셨

gospel79.tistory.com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5-2.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비과학성(창조론과 진화론)

현대 과학에서는 생명의 기원에 대해, 원시 대기를 재료로 전기적인 자극이 가해져 우연히 생명체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이 형성되었고, 이들이 조합되어 원시적인 생명체가 출현하고, 이들이

gospel79.tistory.com

6. 체험적인 증거들

 

6. 체험적인 증거들

지금까지는 왜 성경과 하나님이 사실인지를 지지하는 객관적인 증거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런 증거들은 주로 역사적, 과학적 증거들로 강력한 객관성을 지니고 있지만, '내'가 직접 신의 존재

gospel79.tistory.com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7.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모순

하나님은 공의롭고, 사랑이 넘치는 분이라고 주장하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어떻게 사랑의 하나님이 수많은 사람들을 지옥에서 고문할 수 있는가? 사람이 지옥에 가는 이유는 사람의 '죄' 때문

gospel79.tistory.com

8. 결정하셨습니까?

 

8. 결정하셨습니까?

지금까지 오랫동안 왜 여러분이 막연하게 허황되게 보이는 성경과 복음이 거짓이 아닌 확실한 근거가 있는 '진실'인지에 해 살펴보았습니다. 여기까지 보신 분 중에는 정말 성경이 믿을만하다

gospel79.tistory.com

9. 구원의 길

 

9. 구원의 길

여러분이 이제 성경과 복음이 단순히 사람이 꾸며낸 종교적 판타지가 아닌, 분명한 진실임을 아셨다면, 이제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일만 남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는

gospel79.tistory.com

전직 깡패 박영문씨의 실화

 

전직 깡패 박영문씨의 실화

박영문씨는 젊은 시절 나쁜 친구들과 어울려 소위 말하는 막장 인생을 살던 깡패였습니다. 가정 불화로 아내가 떠나게 되자 복수심에 불타 일가족을 몰살시키려는 무서운 계획을 세우던 중 놀

gospel79.tistory.com

필립 만토파가 직접 겪은 지옥의 참상

 

필립 만토파가 직접 겪은 지옥의 참상

필립 만토파는 인도네시아의 목사님입니다. 어렸을 때 심각한 뇌 장애와 지체 이상으로 고생했으나 어머니의 간절한 기도로 기적적으로 치유받았습니다. 하지만, 그는 건강해진 몸으로 폭력배

gospel79.tistory.com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지옥에 있는 크리스천들

카라멜로 브레니스의 간증 1982년에, 나는 사고로 죽었었다. 죽음이 나를 엄습했을때, 모든 것이 깜깜했다. 나는 어두운 터널을 홀로 걷고있었고, 어떤 종류의 존재가 나를 데려가고 있었다. 춥고

gospel79.tistory.com

어느 목사님의 화려했던 과거 (실화)

 

어느 목사님의 화려했던 과거 (실화)

복싱 역사상 가장 펀치가 센 선수는 누구일까요? 복싱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다양한 선수들의 이름을 들어볼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마이크 타이슨을 떠올리실 것 같습니다. 타이

gospel79.tistory.com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26세에 세계 최고의 증권 회사 부사장에 오른 한국인의 성공 스토리

1. 허무했던 성공 신화 저는 과거에 예수님을 전혀 몰랐었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불교 믿는 집안에서 태어나서, 중3때 미국에 이민을 갔습니다. 미국에 이민 가서,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명문

gospel79.tistory.com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의 충격적인 실화 - 즉사했던 딸이 다시 살아나다

최선규 아나운서는 1986년부터 13기 공채 KBS 아나운서로 방송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열전 달리는 일요일', '전국일주', '생방송 행복찾기' 등의 프로를 진행했고, 현재는 CTS기독교TV '내가 매일 기

gospel79.tistory.com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ebook (클릭)

 

너무나도 중요한 소식

 

gospel79.netlify.app

 

 

728x90
반응형

댓글